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중국 기술 추종? 내재적 발전? 실리콘밸리 기술은?
국내 동양철학 거장 이승환 교수는 주제토론을 이런 말로 시작했다. “자본주의 발전에 대한 역사학계의 논의와 닮았다. 식민지 근대화론과 내재적 발전론 같은.” 조선의 서구과학 수용 과정을 두고 드러난 관련 학계의 견해 차이를 이렇게 비유한 것이다. 학부에선 천문학을 석박사에선 한국사를 전공했던 구만옥 경희대 교수는 서구의 근대적 관점에서 조선의 과학기술을 이해하는 접근을 경계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근대주의 관점에서 전통사회의 과학기술을 바라보는 시선과 기획을 비판할 필요가 있다”면서 “그 시대의 맥락 속에서 (과학기술을) 이해해야 한다”고 했다. 구 교수는 시헌력과 향약이 100여년이라는 시간을 거쳐 조선화한 사례를 언급하면서 그 지난한 노력을 왜 100여년이나 해야 했을까, 그 부분을 참고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새 과학’의 등장 맥락도 소개했다. 그에 따르면 김석문의 ‘역학이십사도해’, 최한기의 ‘기륜설’ 등은 서양선교사와 전혀 다른 방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