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갈릴레오의 배와 AI 고용: 속도보다 방향
지난 9월 25일 오송에 볼 일이 있어 KTX를 이용해 다녀왔습니다. 창밖으로 스치는 사물을 보며 KTX의 속도가 빠르다고 느끼면서, 문득 의문이 들었습니다. “만약 KTX가 언덕 하나 없는 광활한 평지 사막을 달린다면, 우리는 그 속도를 어떻게 느낄 수 있을까?” 창밖은 모래에 반사된 빛과 보이지 않는 공기만 가득합니다. 기차가 얼마나 빨리 달리고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오송역으로 질주한 KTX처럼 시속 300km로 질주할 수도 있고, 무궁화호처럼 상대적으로 천천히 달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창밖의 환경이 위와 같다면, 열차 안에 탑승한 저로서는 속도를 가늠하기 어렵습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는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을 망원경을 통한 천체 관측으로 뒷받침했습니다. 1632년에 출간된 그의 책 ‘두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에는 유명한 ‘갈릴레오의 배(Galileo’s Ship)’라는 비유가 등장합니다. 갈릴레오의 배는 어느 특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