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인쇄가 부추긴 '인식의 폐쇄'와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지체
인쇄와 인식의 폐쇄 월터 옹은 ‘구술문화와 문자문화’에서 인쇄가 인식의 폐쇄를 부추긴다고 썼다(Ong. 1983/1995, 210). “텍스트 속에서 발견되는 것이 어떤 식으로든 마무리 지어지고 어떤 완성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는 감각”을 인쇄가 불러온다는 의미에서다. 이미 경험했듯, 인쇄된 책, 인쇄된 신문은 그 미디엄 안에서 완결돼야 하고 완성돼야 한다. 그런 점에서 사고는 인쇄된 지면 위 격리된 채로 남게 된다. 구술과 가까운 필사본과 문자성과 흡착된 인쇄본은 그래서 같은 듯 다르다. 전자를 구술의 재현으로 본다면, 후자는 문자성의 창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캐서린 헤일스는 ‘나의 어머니는 컴퓨터였다’에서 말하기, 글쓰기, 코드의 진화 매커니즘을 재현와 창발의 연속으로 봤다. 재현이 연속을 의미한다면, 창발은 이전과의 단절을 상징한다. 언어의 진화 경로는 이전 단계를 수용한 뒤 독립적인 형태로 진화해나간다는 것이다. 헤일스는 이 과정을 “각각의 후발체제는 예전에는 없는 특징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