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주간경향 기고] ‘마음챙김앱’이라는 디지털 마취제
스마트폰에서 울리는 알람이 하루평균 63개인 시대. 기술에 의존할수록 우리의 집중력은 더 흐트러질 수밖에 없다. 기술의 편리함을 향유하면서도 알지 못하는 조울감에 마음은 더더욱 병들어가는 요즘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은 이 우울감을 증폭시켰다. 원격근무가 일상화하고, 지인들과의 대면 접촉은 줄어들면서 몸과 마음의 건강성은 조금씩 무너져 내렸다. 줌, 구글미트와 같은 편리한 비대면 화상대화 도구들이 대면 관계의 완벽한 대체품이 되진 못했다. 2020년 이래 오픈(Open), 캄(Calm), 헤드스페이스와 같은 디지털 마음챙김앱들이 붐을 이룬 배경이다. 이 앱들은 기존 피트니스 시장을 대체하면서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일례로 명상앱 캄은 지난해 12월 무려 2조원의 기업가치로 800억원 이상의 자금을 끌어모았다. 미국의 명상앱 헤드스페이스도 이미 유니콘의 반열에 올랐다. 디지털 마음챙김 산업의 확장을 ‘무드 경제(Mood Economy)’의 맥락에서 해석해야 한다는 비판적 목소리가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