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이진경의 인문학 위기론과 저널리즘 위기
이진경. 그의 나이 불과 32세에 출간했던 ‘철학과 굴뚝청소부'(1994년). 대학 1학년 과내 철학회 첫 세미나 교재였다. 1995년, 스무살에 만난 33세의 이진경은 뭐랄까, 이미 서양 근대철학를 자기화한 연구자처럼 크고도 크게 보였달까? 발랄하고 쉬우면서도 깊이를 놓치지 않았던 그 한 권의 책으로 나름 철학이라는 학문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게 됐던 계기가 됐다. 그 덕에 표재명 교수의 ‘실존주의 철학’ 수업까지 낼름 신청하는 객기를 부리기도 했지만. 사실 그의 저서를 ‘맑스주의와 근대성’까지 따라가다 이내 멈췄다. 열 페이지를 넘기기조차 버거웠다. 난해했고 복잡했다. 사유의 복잡도가 지수함수 그래프를 따라 끝이 말아올라가고 있다는 인상이었다. 페이스북 뉴스피드를 스치듯 흘겨보다 ‘철학과 굴뚝청소부’의 한 구절을 다시 만났다. (1994년 발행본엔 없었습니다. 2004년 발행본이 맞습니다.) ‘철학과 굴뚝청소부’ 446쪽의 문구란다. 읽었던 기억마저도 흐릿하지만 쿵 와닿는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