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혁명 그림자 드리우다: 신입 개발자 고용 13% 급감
💡
스탠포드 대학교 연구진은 미국 최대 급여관리 업체인 ADP의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생성AI 확산 이후 22~25세 신입 개발자 고용률이 급격히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연구팀은 2025년 7월까지 수백만 명의 근로자 데이터를 심층 분석하여 "AI 혁명이 미국 노동 시장의 초급 근로자들에게 상당하고 불균등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6️⃣ 주요 연구 결과 6가지
- 신입 근로자 고용 급감: 22~25세 신입 근로자들은 AI 노출도가 높은 직종에서 13%에 달하는 상대적 고용 감소를 경험했습니다. 반면, 같은 직종에 종사하는 경력 근로자와 AI 노출이 적은 직종의 근로자들은 안정적이거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경우, 22~25세 근로자의 고용은 2022년 말 대비 약 20% 감소한 반면, 다른 연령대의 고용은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 전체 고용 성장 속 신입만 정체: 전반적인 고용 시장은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했지만, 2022년 말 이후 신입 근로자의 고용 성장은 눈에 띄게 정체되었습니다. AI 노출이 적은 직종에서는 신입과 경력 근로자가 유사한 성장률을 보인 반면, AI 노출도가 높은 직종에서는 22~25세 근로자의 고용이 6% 감소한 동시에 35세 이상 근로자의 고용은 9%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자동화와 증강 효과의 차이: AI가 업무를 자동화하는 직종에서는 신입 고용이 감소했지만, AI가 업무를 보완하고 증강하는 직종에서는 오히려 고용이 증가했습니다. AI의 활용 방식에 따라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 기업 단위 충격 제어 후에도 유효: 기업별 시간 고정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22~25세 근로자의 AI 노출 직종 고용 감소는 12 로그포인트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습니다. 고용 감소 현상이 특정 기업이나 산업 차원의 충격이 아닌, AI 자체의 영향임을 뒷받침합니다.
- 고용 조정이 임금보다 선행: 고용 변화와 달리 임금에서는 연령이나 AI 노출도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임금 경직성이 작용하거나, AI의 영향이 임금보다 고용에서 먼저 나타남을 의미합니다.
- 다양한 분석에서 일관된 결과: 컴퓨터 관련 직종을 제외하거나, 재택근무가 가능한 직종만을 분석하는 등 다양한 조건에서도 동일한 패턴이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챗GPT(ChatGPT)가 출시된 2022년 말경부터 이러한 패턴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