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구독 서비스, 수익성 악화… Apple TV+·Music·News+ ‘적자 늪’
Apple TV+, ‘비싼 취미’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Apple TV+는 2019년 출범 이후 오리지널 콘텐츠 중심 전략을 고수해왔습니다. 넷플릭스와 디즈니+,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등의 경쟁사들이 오리지널뿐만 아니라 라이선스 콘텐츠를 폭넓게 제공하는 것과 달리, 애플은 자체 제작한 콘텐츠에 집중한 것인데요. 그 결과 Apple TV+의 구독자 수는 2024년 말 기준 약 4,500만 명으로 추정되며, 이는 경쟁사인 넷플릭스(3억163만 명)나 디즈니+(1억 2,460만 명)에 크게 뒤처지는 수치입니다.
특히, 애플이 투자한 대형 영화들이 잇따라 흥행에 실패하면서 적자는 더욱 심화됐습니다. 2024년 초 개봉한 영화 ‘Argylle(아가일)’은 200만 달러(한화 약 30억 원)의 제작비를 들였지만, 흥행 수익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며 실패로 기록됐습니다. 오리지널 콘텐츠의 품질은 인정받았지만, 콘텐츠 라이브러리가 제한적인 탓에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지 못하는 것이 수익성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이에 따라 애플은 Apple TV+에 대한 투자 규모를 연간 50억 달러에서 45억 달러로 줄이기로 결정했습니다. 또한, 폐쇄적인 플랫폼 운영 방식을 일부 완화하면서, 외부 라이선스 영화를 추가하는 등 콘텐츠 확장을 위한 정책 변화를 모색 중입니다.
Apple Music·News+도···기대에 못 미치는 성과
Apple Music(애플 뮤직)과 Apple News+ 역시 성장 둔화와 낮은 수익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Apple Music은 한때 글로벌 음악 스트리밍 시장에서 스포티파이의 강력한 경쟁자로 떠올랐으나, 최근 시장 점유율이 정체되면서 경쟁력 약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애플이 프리미엄 구독 모델에 집중하면서 광고 기반 무료 서비스가 없는 점이 약점으로 지목됩니다. 스포티파이, 유튜브 뮤직 등과 달리 무료 사용자층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신규 가입자 유입이 둔화된 것입니다.
Apple News+의 상황도 마찬가지인데요. 뉴스 콘텐츠 구독 서비스로 출발했지만, 유료 뉴스 구독 시장이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하면서 수익성이 낮아졌습니다. 애플은 유료 뉴스 독점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략을 펼쳤지만, 사용자들이 무료 뉴스 플랫폼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 News+의 성장이 더디었습니다.
애플의 서비스 사업, 수익성 회복 가능할까
애플의 서비스 부문은 여전히 전체 매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애플의 서비스 부문 매출은 263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 증가했는데요. 2025년에는 서비스 부문 매출이 전체 매출의 2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구독 기반 사업 모델이 애플의 수익 구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는 것입니다.
넷플릭스의 CEO 테드 서랜도스는 최근 인터뷰에서 Apple TV+의 전략을 혹평하며, 애플이 구독 서비스 시장에서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애플이 구독 서비스 부문에서 의미 있는 반등을 이루려면, 콘텐츠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보다 개방적인 플랫폼 전략을 채택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또한, 넷플릭스, 스포티파이 등 경쟁사들이 선보인 광고 기반 무료 모델을 도입할지 여부도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애플의 대응 전략: 구독 서비스 재편과 외부 개방
애플도 구독 서비스 사업에서의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몇 가지 변화를 모색 중입니다.
- 외부 플랫폼 개방 확대
- Apple TV+는 기존 애플 기기에서만 시청 가능했던 제한을 없애고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하며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 국내 OTT 플랫폼 티빙과 협력해 Apple TV+ 콘텐츠를 일부 제공하는 등 다른 플랫폼과의 협업도 확대 중입니다.
2. 콘텐츠 투자 전략 변화
-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비용을 줄이는 대신, 외부 라이선스 콘텐츠를 확보해 라이브러리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대형 영화보다는 비용 대비 효율성이 높은 시리즈 중심으로 콘텐츠 투자를 조정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3. 구독 모델 조정 및 번들링 전략 강화
- Apple Music, Apple News+, Apple TV+ 등을 묶은 Apple One 번들 서비스의 혜택을 강화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 광고 기반 저가형 요금제 도입 가능성도 거론되며, 기존 프리미엄 중심 모델에서 전략 변화를 꾀할 것으로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