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직이는 AI(Embodied AI), 인간 노동 대체할까?
내장형 AI(Embodied AI)의 현황과 전망내장형 AI라고도 불리는 Embodied AI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Embodied AI는 사람처럼 현실과 상호작용하는 AI를 말하는데요. 여타 AI가 디지털 영역에서만 영향력을 발휘했다면 Embodied AI는 로봇처럼 사람의 행동을 대신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현실의 변수들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Embodied AI는 'Embodied Cognition(체화된 인식)'이란 개념에서
K-엔터 산업의 희망과 과제
5월 23일, 중국 정부가 우리나라 인디밴드 '세이수미'의 7월 베이징 현지 콘서트를 승인했습니다. 2016년 내려진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중국에서 국내 가수가 대규모 단독 콘서트를 연 건 2015년 11월 빅뱅 이후 약 9년간 단 한 차례도 없었다고 합니다. 이에 엔터 주가가 뛰고 있는데요. 세이수미의 베이징 공연 소식이 나오자 하이브(
[브리핑] 유튜브가 할리우드를 압도하는 이유는?
[1] 유튜브와 할리우드의 경쟁이 계속 유효한 이유유튜브는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미디어 플랫폼'이 되고 있습니다. 닐슨 조사에 따르면, 유튜브는 넷플릭스 등 모든 OTT를 제치고 가장 많이 시청되는 'TV' 스트리밍 앱입니다. 게다가 WSJ에 따르면 유튜브는 공중파와 케이블 채널을 통틀어도 디즈니 다음으로 가장 많이 시청되는 '채널'입니다. TV에서의 시청률만 측정한 자료이기에, 모바일이나 데스크탑
[브리핑] 네이버의 '치지직' 이름에 담긴 사연
[1] UAE, FalconAI로 오픈AI에 도전장?UAE의 아부다비 정부 연구 기관이 자체 생성AI 모델인 Falcon의 새로운 버전 'Falcon 2 11B'를 공개했습니다. 세계 AI 시장에서 UAE의 존재감을 무시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 왜 중요하냐면: UAE는 '중동의 소프트웨어 강국' 또는 '세계 3위 AI 강국'을 목표로 AI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 세계 최초의 AI 부처를
[소비 트렌드] 요즘 한국, 30년전 일본과 비슷하다?
한국과 일본은 여러 모로 닮은 점이 많습니다. 특히 경제적으로 지금의 한국은 90년대 이후 일본과 유사한 면을 보입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졌고 ▲고령화에 따른 부양 부담이 크고 ▲부채가 많아 소비와 투자 여력이 작아지며 저성장 국면에 돌입했단 점입니다. [Report] 한·일 저성장 비교 : 현재 한국은 30년 전 일본과
[브리핑] GPT-4o가 다른 AI보다 뛰어난 점
[1] 오픈AI, 음성비서 GPT-4o 공개, 영화 <Her>가 현실로?오픈AI가 음성비서 GPT-4o(지피티 포오, o는 omni)를 공개했습니다. 아직 정식 배포는 되지 않았지만, 늦어도 2~3주 안에 직접 사용해볼 수 있을 듯한데요. 텍스트나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람처럼 음성을 즉각 받아들인 뒤 사람과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브리핑에선 핵심 정보만
물가, 온라인 게임에선 어떻게 잡을까?
💡대부분 온라인 게임은 게임 내에 자체 경제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자체 화폐를 사용하고, 자체 재화를 거래하는 식입니다. 게임 내 경제 시스템은 보통 현실의 경제 시스템을 차용합니다. 따라서 현실 경제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똑같이 발생하곤 하는데요. 물가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러 온라인 게임이 물가 문제로 유저들의 불만을 사곤 합니다.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이 아예 게임이 망하는 주요
[브리핑] 네이버의 '라인', 일본에 뺏기나?
[1] '라인' 강탈? 네이버의 재팬 리스크일본 정부가 '라인(LINE야후)'에 대한 네이버의 경영권 '사냥'에 나섰습니다. 네이버에게 이는 단순히 메신저 하나를 잃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라인에 대한 지배력 상실은 수억명에 달하는 글로벌 라인 이용자를 토대로 한 온갖 서비스 시장에서의 경쟁력 약화를 뜻합니다. 일본 정부는 미국의 '틱톡 강제 매각법'과 마찬가지로 네이버의 개인정보
폐쇄형 SNS 로켓 위젯, 들어보셨나요?
폐쇄형 SNS의 주기적인 등장과 좌절폐쇄형 SNS가 모처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친구를 최대 20명까지만 등록할 수 있는 폐쇄형 SNS '로켓 위젯(Locket Widget)'이 국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는데요. 로켓 위젯은 미국에서 개발된 SNS로, 2022년 출시 2주 만에 미국 내에서만 2백만 명의 유저를 모은 바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선 몇 박자 늦게 유행을
[AI 활용사례] 직장인 위한 AI 서비스 #2 - AI 협업툴
💡직장에서 일을 하다 보면 "AI가 대신 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습니다. 그런 사람들을 위해 직장 업무를 대신 해주거나 보조해주는 AI 툴이 굉장히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를 잘 활용하면 업무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선 업무를 위한 AI 사용법, 그 중에서도 자주 쓰이는 협업툴 속 AI 기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