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 네이버의 '치지직' 이름에 담긴 사연
[1] UAE, FalconAI로 오픈AI에 도전장?UAE의 아부다비 정부 연구 기관이 자체 생성AI 모델인 Falcon의 새로운 버전 'Falcon 2 11B'를 공개했습니다. 세계 AI 시장에서 UAE의 존재감을 무시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 왜 중요하냐면: UAE는 '중동의 소프트웨어 강국' 또는 '세계 3위 AI 강국'을 목표로 AI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 세계 최초의 AI 부처를
[소비 트렌드] 요즘 한국, 30년전 일본과 비슷하다?
한국과 일본은 여러 모로 닮은 점이 많습니다. 특히 경제적으로 지금의 한국은 90년대 이후 일본과 유사한 면을 보입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졌고 ▲고령화에 따른 부양 부담이 크고 ▲부채가 많아 소비와 투자 여력이 작아지며 저성장 국면에 돌입했단 점입니다. [Report] 한·일 저성장 비교 : 현재 한국은 30년 전 일본과
[브리핑] GPT-4o가 다른 AI보다 뛰어난 점
[1] 오픈AI, 음성비서 GPT-4o 공개, 영화 <Her>가 현실로?오픈AI가 음성비서 GPT-4o(지피티 포오, o는 omni)를 공개했습니다. 아직 정식 배포는 되지 않았지만, 늦어도 2~3주 안에 직접 사용해볼 수 있을 듯한데요. 텍스트나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람처럼 음성을 즉각 받아들인 뒤 사람과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브리핑에선 핵심 정보만
물가, 온라인 게임에선 어떻게 잡을까?
💡대부분 온라인 게임은 게임 내에 자체 경제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자체 화폐를 사용하고, 자체 재화를 거래하는 식입니다. 게임 내 경제 시스템은 보통 현실의 경제 시스템을 차용합니다. 따라서 현실 경제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똑같이 발생하곤 하는데요. 물가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러 온라인 게임이 물가 문제로 유저들의 불만을 사곤 합니다.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이 아예 게임이 망하는 주요
[브리핑] 네이버의 '라인', 일본에 뺏기나?
[1] '라인' 강탈? 네이버의 재팬 리스크일본 정부가 '라인(LINE야후)'에 대한 네이버의 경영권 '사냥'에 나섰습니다. 네이버에게 이는 단순히 메신저 하나를 잃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라인에 대한 지배력 상실은 수억명에 달하는 글로벌 라인 이용자를 토대로 한 온갖 서비스 시장에서의 경쟁력 약화를 뜻합니다. 일본 정부는 미국의 '틱톡 강제 매각법'과 마찬가지로 네이버의 개인정보
폐쇄형 SNS 로켓 위젯, 들어보셨나요?
폐쇄형 SNS의 주기적인 등장과 좌절폐쇄형 SNS가 모처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친구를 최대 20명까지만 등록할 수 있는 폐쇄형 SNS '로켓 위젯(Locket Widget)'이 국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는데요. 로켓 위젯은 미국에서 개발된 SNS로, 2022년 출시 2주 만에 미국 내에서만 2백만 명의 유저를 모은 바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선 몇 박자 늦게 유행을
[AI 활용사례] 직장인 위한 AI 서비스 #2 - AI 협업툴
💡직장에서 일을 하다 보면 "AI가 대신 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습니다. 그런 사람들을 위해 직장 업무를 대신 해주거나 보조해주는 AI 툴이 굉장히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를 잘 활용하면 업무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선 업무를 위한 AI 사용법, 그 중에서도 자주 쓰이는 협업툴 속 AI 기능을
서울대병원의 벌금과 사이버 보안 이슈
작년 9월 글로벌 카지노 리조트 운영사 ‘MGM리조트 인터내셔널’은 랜섬웨어 공격으로 1.1억 달러에 달하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그러나 피해 비용을 전액 충당할 수 있었는데요. 그 이유는 바로 최대 2억 달러를 보장하는 사이버보험을 들었기 때문입니다. 적게는 월 수백만원, 많게는 월 수억원에 달하는 보험료를 지불한 보상이었습니다. 해킹 등 사이버 공격의 횟수와 강도가
[브리핑] 서울, 세계 9위 '스타트업 도시' 선정
[1] 서울, '스타트업을 위한 도시' 9위 선정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피치북(PitchBook)'이 내놓은 '스타트업 생태계가 잘 조성된 도시 순위'에서 서울이 9위에 올랐습니다. 해당 순위는 스타트업 네트워크의 사이즈와 성숙도, 투자 유치액의 크기 등을 종합해 산정했는데요. 미국과 중국의 대도시들, 그리고 런던의 뒤를 이어 서울이 스타트업 도시 순위 9위를 차지했습니다. (출처=Pitchbook)세부 점수를
테슬라의 위기와 EV 스타트업들의 몰락
테슬라가 어려움에 처했다고 합니다. 테슬라는 지난 1월부터 자사의 올해 성장률이 둔화할 것이라고 직접 경고하기도 했는데요. 중국에서의 시장 점유율 하락, 확실히 예전보단 둔화한 수요, 홍해 부근에서 벌어진 이스라엘과 IS 세력 후티 간 충돌로 인한 공급 차질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며 테슬라의 경쟁력은 점점 약해지고 있는데요. 지난 4월 2일 발표된 테슬라의 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