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 애플, 'AI 시리' 출시 연기
[1] 애플, '개인 맞춤형 시리' 출시 연기… 생성 AI 개발 속도 늦어지나?💡애플이 차세대 AI 기능인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개인 맞춤형 시리의 출시를 연기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해당 기능은 iOS 18과 MacOS 15 시리즈에서 도입될 예정이었지만, 이번 발표로 인해 내년 WWDC에서 공개될 iOS
[브리핑] 유튜브가 바꾸는 지형도 - 시청률 평가기준도?
[1] TV보단 유튜브, 한국도 매일 2시간 이상 시청💡유튜브가 모바일을 넘어 TV 시청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최근 유튜브는 미국에서 TV 시청 시간이 모바일을 앞질렀다고 발표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유튜브의 시청 시간이 네이버와 카카오 활용 시간을 합친 것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튜브, TV 스크린 장악 지난 브리핑에서 유튜브 시청 시간의 상당
2025 마케팅 트렌드: 판도 바꾸는 생성AI
[브리핑] 마케팅에서 생성AI 활용 급속도로 확장💡마케팅 분야에서 생성AI의 활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MartechTribe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마케팅 기술 생태계에서 활용되는 생성AI 도구는 총 2,324개로, 이는 업계 성장의 77%를 차지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또한, 생성AI의 활용 방식은 크게 6가지 마케팅 기술(MarTech) 분야로
[Briefing] AI & 광고시장 재편 - 미디어 시장의 변화
[1] AI가 주도하는 광고 기획 혁신💡광고 산업이 AI 기반 플랫폼을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습니다. 최근 ‘Madison and Wall’은‘The Future of Planning is the Platform’ 보고서를 발표하며 AI 기반 광고 기획과 운영이 기존의 마케팅 전략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특히 대형 브랜드들이 점점 더 AI를 활용한 광고 플랫폼을 도입할
[브리핑] 국방 AI 시장, 급성장 중!
[1] AI 안보 강화에 ‘국방 AI’ 시장 급성장…IT 기업들 경쟁 본격화출처: 이데일리범용 인공지능(AGI)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국가 안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각국 정부가 AI 안보 강화를 추진하며 국방 AI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리서치 업체 프로스트앤설리번에 따르면, 전 세계 국방 AI 시장 규모는 2022년 약 66억
[리포트] 한국반도체 산업, 경쟁력 약화 추세
한국 반도체 산업, 경쟁력 약화💡한국의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이 최근 몇 년 사이 약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발표한 ‘반도체 강국으로 재도약을 위한 미래 이슈’ 보고서를 중심으로 반도체 산업 전반을 살펴보겠습니다. 보고서에서는,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메모리 중심에서 시스템 반도체로 확장하며 기술 경쟁력 강화와 인재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고
[브리핑] BYD, 딥시크 AI 탑재로 자율주행 박차 - 테슬라 추격
[1] BYD, 딥시크 AI 탑재로 자율주행 대중화 선언…테슬라 추격 본격화💡세계 최대 전기차 제조사인 중국 BYD가 자율주행 대중화를 선언하며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섭니다. 핵심은 글로벌 AI 시장을 뒤흔든 딥시크(DeepSeek)의 AI 기술을 자사의 자율주행 시스템 ‘천신의 눈(天神之眼)’에 통합하는 것입니다. 아쉬운 평가를 받아왔던 자율주행 성능을 대폭 끌어올리겠다는
'100대 휴머노이드 기업' - 삼성 LG 네이버 현대차 등 포함
[1] 모건스탠리 '100대 휴머노이드 기업' 발표… 국내 기업 4곳 포함💡모건스탠리가 발표한 ‘휴머노이드 100(Humanoid 100)’ 보고서에 국내 기업 4곳이 선정됐습니다. 보고서는 향후 10년간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이 주요 기술 투자 트렌드가 될 것이며, 시장 규모는 최대 60조 달러(약 8경 660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삼성전자 현대차 네이버
"이젠, 유튜브가 TV!"
[1] 유튜브, 이제 TV가 주 무대💡95년 2월 만들어진 유튜브, 이제 20주년을 맞았습니다. TV로 유튜브를 보는 사람이 늘어나는 등 우리 일상에 스며들면서 방송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유튜브 관련, 이모저모를 살펴봤습니다. 유튜브가 모바일 중심 플랫폼이라는 인식이 깨지고 있는 현상과 새로운 방송플랫폼으로 부상하는 현상 등을 짚었습니다. 참고로 최근 통계에 따르면, 유튜브
중국 미니드라마, 미국 시장 공략 나서
중국의 60초 미니 드라마, 미국 시장까지 진출60~90초의 짧은 클립으로 구성되는 중국의 '미니 드라마'가 현지 박스오피스를 뛰어넘는 수익을 기록하며 미국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기존 틱톡 영상이 춤이나 챌린지 중심이었다면, 미니 드라마는 명확한 스토리라인을 가지고 50편 이상의 에피소드로 제작됩니다. 중국의 미니드라마 'Duo Qu’ 포스터.(Source: Tencent Video)광고 수익과 유료 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