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글, 알고리즘 데이터 유출 - AI 검색이 가져올 변화

구글이 검색 결과에 AI 요약 서비스인 ‘AI 개요 오버뷰(Overviews)’를 도입하면서 디지털 정보 소비 방식에 큰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이제 사용자들은 웹사이트에 방문하지 않고도 검색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제미나이(Gemini) 기술에 기반해 생성된 요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설계됐습니다. ‘AI 개요 오버뷰(Overviews)’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번주 더코어의 ‘AI 브리핑 #10’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I 브리핑 #10: 구글 AI 검색 혁신, 웹 세상의 판도를 바꾸다
Top Story: 구글 검색 결과에서 AI가 생성한 답변이 패러다임을 바꾸는 이유구글은 검색 결과 내에 AI가 생성한 요약 정보인 ‘AI 개요(Overviews)’를 도입합니다. 우리는 챗GPT 시대를 통과하고 있습니다. 이 시기의 특징은 처음에는 사소하게 들릴 수 있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혁명이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아래 글은 ‘AI 개요(Overviews)’가 어떤

와중에 구글의 검색 순위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유출된 것이 사실임을 구글이 확인했습니다. 지난 3월 유출된 '구글 API 콘텐츠 웨어하우스'에 따르면 구글은 검색에서 웹페이지 순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해왔던 클릭 수, 크롬 사용자 데이터 등을 수집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어떤 요소에 가중치가 부여되는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되기 위해 브랜드가 중요하고, 크롬 브라우저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어떤 검색어를 넣어서 어떤 문서를 클릭했는지가 상위 노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구글은 "오래됐거나 불완전한 정보를 바탕으로 검색에 대해 부정확한 가정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지만, 이번에 유출된 정보가 검색 엔진 최적화(SEO), 마케팅, 퍼블리싱 업계 전반에 파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AI 개요 오버뷰(Overviews)’가 상용화된다고 하면, 이 뒤에 인지도가 높은 유명 웹사이트가 위치하고, 신생 웹사이트의 경우 그 뒤에나 나타나게 되니, 방문자를 확보하기 더 어려워질지도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