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조원 규모 '토큰세'로 AI 실업 대응? 앤트로픽 CEO의 해법

💡
"일자리 소멸은 이미 시작됐다"는 흥미로운 블로그 글이 있어 소개합니다. 앤트로픽 아모데이 CEO의 말에서 시작한 이야기인데요.
아모데이는 최근 첫 개발자컨퍼런스에 나와 직접 아래처럼 말했습니다.

"AI는 주니어급 화이트칼라 직업의 절반을 없앨 수 있다. 향후 5년 내에 실업률은 10~20% 급등시킬 수도 있다"

예상은 했던 일이지만, 막상 들으니 충격적이긴 합니다.
이보다 더 한 이야기도 나왔는데요.

"AI는 추후 민주주의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생산성이 없는 사람이 AI로 인해 급증한다면 큰 정치적 이슈가 생길 수 있다"

아모데이의 이 인터뷰를 자세히 살펴보고 정리했습니다.

🤐정부와 기업들이 숨기고 있는 위험

  • 아모데이는 AI가 가지고 있는 이 같은 위험을 정부와 AI 기업들이 의도적으로 숨기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런 일이 곧 일어나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믿지 않고 있고 이를 노리고 정부와 기업들도 정직하게 말하지 않고 일부 사실을 숨기고 있다는 것입니다.
  • 특히 미국 정부는 두 가지 이유로 AI가 가진 위험을 숨기고 있다고 하는데요. 첫째는 중국 등 경쟁국에 뒤처지는 것이고, 둘째는 노동자들에게 이같은 정보가 부정적 시그널을 줄 것이 우려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아모데이는 AI 시장이 지금 추세대로 계속 발전한다면 특히 30세 미만, 20대 사회초년생들에게 매우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노동 시장이 크게 불균형해지며 이르면 다음 미국 대선(2028년)부터는 AI와 일자리 문제가 주요 쟁점이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데이터로 드러나고 있는 위험

  • 물론 이 같은 주장을 한 아모데이는 늘 AI 안정성에 대해 강조하는 인물이긴 합니다. 하지만 이 주장을 한 귀로 흘릴 수는 없는 게, AI로 인한 일자리 위협은 이미 현실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래프들을 보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지난해 빅테크의 신입 채용은 2023년 대비 24.8% 감소했습니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무려 50% 이상 줄었습니다. 스타트업도 비슷합니다. 오히려 2~10년 이상의 경력직 선호도만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나마 있는 채용은 대부분 머신러닝과 AI 영역에 집중 중입니다. 세일즈, 마케팅, 디자인, HR 등 문과를 위한 영역은 대부분 채용 기회마저 급감했습니다.

🔻 세일즈포스·MS·월마트, AI 도입 후 채용 축소

최근 세일즈포스 임원은 자사의AI 에이전트 도입 후 "채용 수요가 일부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AI가 생산성 향상을 넘어 특정 인력의 대체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인데요. 마이크로소프트 또한 최근 엔지니어를 포함해 6,000명을 감원했고, 월마트는 1,500명의 본사 인력 감축을 발표했습니다. 사이버 보안 기업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역시 500명(5%) 감원을 결정했습니다.

🩻'보조'라서 상관 없다?

  • 한때는 "AI는 인간을 보조하는 기능으로 더 많이 쓰일 테니, 오히려 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다"는 주장이 더 신뢰할 만 했습니다. 하지만 앤트로픽이 공개한 사용자 데이터에 따르면, 점차 AI를 보조를 위한 증강(Augmentation) 목적이 아닌 대체를 위한 자동화(Automation) 목적으로 사용하는 비중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따고 합니다.
  • 물론 아모데이가 지적한 만큼 실업률이 20% 폭등할지는 모릅니다. 여전히 많은 전문가들은 AI로부터 새로운 기업과 일자리가 나올 거라고 예측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안톤 코리넥(Anton Korinek) 버지니아대 경제학과 교수는 "과거와 달리 AI와 같이 지능이 있는 기계는 새로운 일자리마저 인간보다 빨리 학습할 수 있다"고 반박하기도 합니다.

🏦대책은 '토큰세'?

  • 아모데이는 대책으로 토큰세(Token Tax)라는 일종의 피구세를 제시했습니다. AI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고려해서, 수익을 얻는 AI 기업들이 수익의 일정 부분(*아모데이는 예시로 3%를 제시)을 납세하고 정부가 그 세액을 일부 국민들에게 재분배하는 방식입니다.
  • AI 시장은 2024년 기준 2000억 달러 규모이며, 2030년까지 최소 2조 달러(약 277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3% 세율을 매긴다면 정말 단순하게 계산할 때 연간 600억 달러(약 83조원) 정도 세액이 창출되는 셈입니다.
  • 물론 이 같은 대책은 허점이 많아 보이긴 합니다. 그럼에도 AI가 이처럼 고용시장에 큰 구멍을 만들 경우, 단기적으로는 일자리 문제를, 장기적으로는 사회 체제 자체에 큰 균열이 생길 수 있기에 하루 빨리 대응책을 논할 필요는 있습니다.
AI could wipe out 50% of entry-level white-collar jobs, Anthropic CEO warns
AI’s rise could result in a spike in unemployment within one to five years, Dario Amodei, the CEO of Anthropic, warned in an inter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