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인급동’ 없앤다

💡
유튜브가 인기 급상승 동영상, 이른바 '인급동' 카테고리를 없앱니다. 이는 단순히 하나의 기능이 종료되는 걸 넘어 유저 대다수를 아우르는 '대세 콘텐츠'의 개념 자체가 희미해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각자 다른 취향과 커뮤니티가 공고해지며 나만의 콘텐츠를 소비하는 흐름을, 유튜브도 따라가는 것입니다.
타깃 소비자층을 분석하고 그들의 취향에 대응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대중적인 노출보단 팬덤을 기반으로 확산할 방법을 고민해봐야 할 때입니다.

🎬 인급동 폐지, '모두가 본다'는 환상

  • 인급동은 지금껏 유튜브 인기의 지표로 통했습니다. "인급동 1위에 올랐다"는 말은 곧 크리에이터의 인기를 보여주는 척도였고, 인급동 등극을 유튜브 시장의 최대 과제로 여기는 이들도 많았습니다.
  • 하지만 유튜브는 최근 공지사항을 통해 "인기 페이지 방문 횟수가 크게 감소했고, 특히 지난 5년간 감소세가 두드러졌다"며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 한마디로 인급동을 보는 사람이 빠르게 줄고 있다는 것입니다. 각자 관심 있는 카테고리만 보고 트렌드가 세분화되며 롱테일의 중요성이 더욱 커진 결과입니다.

🔁 ‘카테고리 차트’ 강화로 바뀐 흐름

  • 유튜브는 인급동을 폐지하는 대신 카테고리별 랭킹 시스템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재도 운영 중인 △뮤직비디오 △작품 예고편 △팟캐스트 등 세분화된 콘텐츠 랭킹 시스템을 더욱 강화, 확대한다는 뜻입니다.
  • 이는 유튜브에서만 나타나는 변화는 아닙니다. 틱톡, 인스타그램 등 대부분 플랫폼은 인급동과 같은 통합 차트 대신 분산화된 차트를 예전부터 운영해왔습니다. 일부 플랫폼은 아예 인기 순위를 표시하지 않기도 합니다.
  • 꾸준히 발전 중이던 알고리즘 기능도 이 같은 개인화 현상을 부추겼습니다. 유튜브는 수년간 AI 기반 추천 알고리즘을 강화했는데요. 대부분 유저는 홈피드나 '다음 영상 추천' 기능을 통해 콘텐츠를 소비 중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굳이 인급동과 같은 차트 기능을 운영할 필요는 없습니다.

📌 '대세'가 없어진 시대

  • 이제 수백 개의 작은 밈들이 파편화된 시대가 됐습니다. 카테고리별 차트로의 전환은 유튜브가 다양한 팬덤과 크리에이터 각각의 세계관을 인정하고 지원하겠다는 선언으로 해석됩니다. 더 확대 해석하자면, 대중성과 획일성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 생태계가 시들고 개인화에 초점을 둔 알고리즘 미디어 생태계가 완전히 자리 잡아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팬덤을 기반으로 한 '마이크로 트렌드'가 무엇보다 중요해지며, 이제 크리에이터나 기업들에게 가장 중요한 건 "내 팬이 어디에 있고, 그들이 원하는 건 무엇인가"를 찾아내는 능력입니다.
  • 한편으로는 이 같은 카테고리 세분화가 플랫폼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이 될 수도 있어 보입니다. 그간 유튜브 등 플랫폼은 알고리즘의 투명성을 의심받으며 공정한 노출에 대한 요구를 받아왔는데요. 세분화된 카테고리가 운영되며 각 카테고리별로는 더 다양한 크리에이터들이 노출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유튜브 ‘인기 급상승 동영상’ 없앤다
“‘놀면 뭐하니?’에 출연 회차가 인급동에 올랐다. 1위가 제 영상, 3위가 저희 어머니와 나온 영상, 2위가 아이유씨랑 GD씨가 같이 나온 영상이었다. 내가 아이유 씨랑 GD 씨를 살짝 이겼다는 생각이 들었다.”지난 2일 MBC 예능 프로그램 ‘라디오스타’에 출연한 코미디언 임우일씨의 말이다. 콘텐츠 업계에서 인기 척도로 보는 ‘인급동’을 유튜브가 폐지한다. 개인화된 추천 영상을 소비하는 경향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유튜브는 최근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인급동 서비스 개편 계획을 발표했다. 유튜브는 공지를 통해 “인기 페이지 방문 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