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1. 쿠팡플레이의 '인턴기자' 주현영의 SNL 클립이 화제다.
2. Z세대인 20대(대학생, 신입)가 공식발표 때 당황하는 모습을 잘 표현했다고.
3. 소셜공간에선 '젊은 여성에 대한 혐오'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4. 이병헌, 하지원 등을 내세운 쿠팡플레이의 오리지널(SNL)이 유튜브에서 인기다.
5. 아직 쿠팡플레이의 콘텐츠 경쟁력은 미흡한 가운데 화제몰이에는 성공한 듯.
6. OTT 전쟁의 각축전은 더 심화 중! - 웨이브(HBO 제휴), 티빙(극장 동시개봉) 등.
일단 인턴기자 주현영이 등장한 클립을 보자.
SNL 특유의 풍자와 재치가 잘 담긴 영상으로 보인다. 그냥 인턴기자의 어눌함을 담은 코믹영상으로 치부될 수도 있지만, 그 속에 녹여낸 풍자 코드의 디테일은 생각보다 많아 보인다. 물론, 외형상 추석을 맞아 방역 기준이 일부 완화된 것 관련, 명확치 않은 근거와 기준에 대한 맹점을 짚은 정치풍자라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코너의 작가들이 아이디어 회의하며 손뼉을 치고 박장대소를 했을 대목은 따로 있어 보인다.
기자와 앵커의 티티카카로 설정했지만, (작가들이 직접 혹은 눈 앞에서 경험한) 대학교 팀프로젝트 발표나 취업면접 혹은 신입사원의 첫 발표 등이 연상되게끔 의도한 클립이라는 얘기다. 온라인에서 바이럴되면서 '현실 20대 발표 영상'이라고 칭해지는 것과 '현실연기, 깨알연기, 디테일 지림' 등의 반응이 나오는 게 그 방증이다.
20대는 금방 알아차리지만, 다른 세대는 놓치기 쉬운 '현실감을 주는 디테일'은 어떤 걸까?
먼저 인턴기자가 리포팅 첫머리에 거꾸로 앵커에게 질문을 하는 부분. 발표를 잘 하는 요령 중 하나로 '발표를 잘 풀어가기 위해 초반에 쉬운 질문을 던져 주목을 높이며 시작하는 것도 좋다'는 조언이 있는데 그걸 그대로 살렸다. 뚱한 응답이었지만 그와 무관하게 '답변 감사합니다'라는 연습된 말이 자동으로 나오는 것도 클리셰다.
앵커의 질문에 대한 응답이 마땅치 않아 당황했을 때, 왼손으로 오른쪽 새끼손가락을 긁는 제스처와 머리를 한번 쓸어주는 장면 또한 그렇다. 아울러 옷 소매도 한쪽만 접혀 있다.
무엇보다 먹어들어가는 발음도 특징적. 초반의 자기소개 때 이름도 일정하게 시간을 띄워가며 또박또박 발음하던 것에 비해 정작 중요한 내용의 설명 때 어눌해지고 발음도 뭉개지는 것. 준비가 미흡하고 온전한 이해가 안된 걸 드러내는 대조적 장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