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제로 클릭' AI 검색이 뉴스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
AI 검색이 국내 언론사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업데이트 : 2025년 11월 12일]
AI 검색에 대한 논의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국내 ChatGPT 사용자가 2000만 명을 넘었다는 통계까지 나오면서 AI 검색은 미래가 아닌 당면한 현실의 정보 유통 조건이 됐습니다. 하지만 아직 AI 검색이 미칠 영향을 체감하지 못하는 언론사 종사자들이 많습니다.
영미권에선 트래픽이 하락하는 언론사들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구글이 검색에 AI 검색인 AI Overviews 통합을 본격화한 뒤 벌어진 풍경입니다. 영국의 메일 온라인은 검색에서 AI Overviews가 등장할 때 평균 클릭률이 56.1% 떨어진다고 합니다. 데스크톱 기준입니다. 모바일에선 이보다 덜한 상황이지만, 그 여파가 만만하지 않습니다.

체감은 못하시겠지만, 세계적으로 신뢰 높은 웹 분석 사이트(statcounter)에서, 네이버의 한국 검색시장 점유율은 48.45%입니다. 구글이 43.09%입니다. 인터넷트렌드와는 다소 차이가 나긴 합니다만, 네이버의 검색 점유율은 50%에 미치지 못합니다. 이를 감안할 때 구글이 AI 검색으로 전환하면 국내 언론사들의 트래픽은 상당폭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구글 디스커버가 일부 보완할 것으로 보입니다만, AI 검색발 '제로 클릭'의 영향권 안에 있습니다.
오늘 공유하는 자료는 AI 검색이 국내 언론사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물론 저의 개인적인 견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나름 여러 자료와 내부 통계(블루닷 인텔리전스) 등을 바탕으로 도출한 분석과 결론입니다. 그리고 이 자료는 제가 한국언론학회 2025년 봄철학술대회 발표용으로 준비한 것이기도 합니다.
업데이트 된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볼드 부분일 추가된 챕터입니다. (전체 70페이지)
- 검색과 정보 유통 질서의 지각 변동
- Machine Audience가 온다
- Machine Audience와 제로 클릭
- AI 검색과 수용자의 뉴스 소비 변화
- 언론사에 미치는 영향
- AI검색최적화를 위한 RAG 기술 이해
- AI 검색과 뉴스 가시성
- AI 검색과 발견가능성 개선 전략
- AI 검색 크롤러의 이해가능성 개선 전략
- AI 검색 인용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
- AI Agent의 실행을 지원하는 전략
- SEO -> GEO를 위한 전략 요약
- 제로 클릭 시대 언론사 생존의 대안들
AI 검색 시대에 대응 방안을 모색하려는 언론계 고위 의사결정자 분들이 있다면 꼭 읽어보시길 제안드립니다. 물론 피드백은 언제든 환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