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 - 1] 구글에게 필요한 변화는?

구글이 최근 제미나이(Gemini)의 이미지 오류로 위기에 빠져 있는 가운데 CEO 교체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 이미지 오류?
    미국 '건국의 아버지'나 2차대전 당시 독일군의 이미지를 흑인 등 유색인종으로 그려낸 사례 등이 많이 보도됐었는데요. 서비스 중단 후 구글의 CEO 순다 피차이는 전 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용납할 수 없는 실수"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 비판의 목소리들 - CEO 교체주장까지!
    이 사건 이후 다양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통계전문가이자 저널리스트인 네이트 실버는 "어떻게 시총 1조8,000억달러 규모의 회사에서 (이런 상황의 프로젝트가) 승인을 받을 수 있었는지 의문이다"라고 질타했습니다.  IT전문가 벤 톰슨은 "피차이 CEO를 포함해 제미나이가 이렇게 되도록 방치한 책임자를 해임하는 수준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마리사 메이어 전 구글부사장은 "그들은 시장 선도자가 아닌 도전자의 사고방식을 택해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 구글의 딜레마
    이 사건으로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의 주가는 연일 내림세를 보이고 있죠. 그런데, 더 심각한 문제는 AI로 인한 검색 서비스의 변화 및 수익모델의 약화 전망이란 지적이 많습니다. 이를테면, 시장조사기관 가트너는 생성 AI와 챗봇 서비스의 등장으로 2026년까지 기존 검색 시장규모가 25% 축소할 것으로 예측했는데요. 구글 입장에선 '마르지 않는 우물'처럼 소중했던 검색광고라는 수익모델이 AI로 인해 크게 줄어들거란 부정적 전망을 어떻게 타개해 나갈 지, 엄청난 숙제가 들이닥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장 눈앞에는 생성 AI를 둘러싼 기술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죠. 2015년 구글의 사령탑을 맡은 순다 피차이 CEO는 당시 4,000억원 수준의 시총을 4배 이상 끌어올리며 분명 재무적 성공을 일궈냈습니다. 하지만 지금 분위기는 달라 보입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최근 "구글의 사장 교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제목의 보도에서 “시장에서는 피차이 CEO가 구글의 장기적인 전망은 물론 현재 직면한 난관을 제대로 헤쳐 나갈 수 있을 지에 대해 회의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There are growing calls for Google CEO Sundar Pichai to step down
Analysts believe Google’s search business is keeping it safe for now, but that could change soon with generative-AI rivals proliferating.

Gemini and Google's Culture (Ben Thompson)

[2] 일론 머스크의 오픈AI 고소, 목적은?

일론 머스크가 지난주 오픈AI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머스크는 "오픈AI는 인류의 이익을 증진한다는 목표를 저버리고 자사의 이익만을 추구했다"며 설립 목표, 즉 계약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는데요. 어쩌면 머스크는 애초에 승소를 바라고 소송을 건 게 아니라, AI 기술의 개발 방향과 관련해 자신의 주장을 널리 알리기 위해 소송을 걸었을지도 모릅니다.

일론 머스크가 7일 X(트위터)에 올린 풍자성 합성 이미지 

• 왜 중요하냐면 : 이 소송은 누가 법정에서 승리하느냐 그리 중요하지 않습니다. 전문가들은 공식적인 서면 계약이 없기에 머스크가 승소할 가능성이 무척 낮다고 분석하지만, 머스크의 목적은 '오픈AI가 변질됐다'는 주장을 널리 알리기 위함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주장은 향후 AI 기술의 개발 방향과 관련한 중대한 논쟁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더 많은 정보 : 머스크는 35p 분량의 고소장을 통해 자신이 오픈AI 설립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챗GPT 등의 성공에도 자신이 크게 기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일각에선 이번 소송을 통해 오픈AI의 내부 운영 방식과 비즈니스 목표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대중에 공개될 것이라 예측합니다.

• 기억해 둘 것 : 이번 소송은 AI 기술의 발전 방향과 오픈 소스 원칙에 대한 광범위한 논란을 촉발시킬 수 있습니다. 몇달 전 알트만 해임 사건처럼 AI를 둘러싼 이념 논쟁이 또 다시 수면 위로 오를 수도 있습니다.

Elon Musk sues OpenAI and CEO Sam Altman over contract breach
Elon Musk has filed a lawsuit against OpenAI and CEO Sam Altman, among others, accusing them of breaching a contractual agreement.

[3] 무산된 '애플 카' 프로젝트, 10년간 무슨 이야기 오갔나?

애플은 거의 10년 가까이 '애플 카'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막대한 예산과 수천 명의 인력을 투입했고, 자동차 관련 특허를 꾸준히 출원했지만 결국 중단됐다고 합니다. 블룸버그가 10년 동안의 애플 카 프로젝트에 관한 상세한 보도를 내놓았습니다.

• 왜 중요하냐면 : 애플 카의 무산은 빅테크와 자동차 업계가 비슷한 방향으로 나가는 듯 보여도 결국 이질성이 짙음을 보여줍니다. 애플은 프로젝트 초기에 테슬라 인수를 고려하기도 하고, 다른 유명 자동차 기업과 협력을 시도하기도 했는데요. 블룸버그는 해당 시도들이 실패한 이유를 빅테크와 자동차 기업 간 이해관계의 상충이라고 분석합니다.

• 더 많은 정보 : 블룸버그는 애플이 목표에 가까이 가지도 못했다고 지적합니다. 애플이 시제품 테스트조차 한번도 하지 못한 채 프로젝트를 접은 건, 애플이 제대로 된 목표를 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계속해서 프로젝트의 목표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계속해서 개발 비용만 낭비됐다고 하네요.

• 기억해 둘 것 : 애플 카 프로젝트의 실패는 압도적인 기술력을 갖춘 테크 기업도 전통적인 산업에 진입하는 게 결코 쉽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그래도 모든 게 물거품이 됐다고만 보긴 어렵습니다. 비록 애플은 이번 프로젝트에서 원하는 성과를 얻지 못했지만, 이 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은 향후 다른 분야에서라도 좋은 영감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How Apple Sank About $1 Billion a Year Into a Car It Never Built
Around the beginning of 2020, Apple Inc.’s top executives gathered at a former Chrysler testing track in Wittmann, Arizona, to try out the latest incarnation of the car the technology giant had been trying for years to make. The prototype, a white minivan with rounded sides, an all-glass roof, slidi…

[4] CNN+의 실패와 CNN의 미래 전략 변화

2022년 4월, CNN은 뉴스 전문 스트리밍 서비스 CNN+를 출범 3주 만에 중단시켰습니다. CNN은 디지털 전환에 실패한 후 경영진을 교체하는 등 큰 변화를 겪고 있는데요. CNN이 미래 전략을 변화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할지, 미디어 칼럼니스트 사이먼 오웬스(Simon Owens)의 분석을 소개합니다.

• 왜 중요하냐면 : CNN은 오랫동안 '주변 TV', 즉 보고 싶은 프로그램이 시작하기 전까지 보는 채널로 인식됐습니다. 뉴스 전문 채널의 한계일 텐데요. 그렇기에 CNN+라는 뉴스 전문 스트리밍 서비스의 성공 가능성은 무척 낮아보였습니다. 실제로 CNN+는 출시 3주 만에 종료됐고, CNN도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CNN은 작년 경영진 교체했지만, 아직까지 디지털 전환과 TV 서비스 강화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습니다. 직원들도 불안과 동요를 겪는 중입니다.

• 더 많은 정보 : 마크 톰슨의 지휘 아래, CNN은 디지털 시대에 어울리는 모습으로 재단장할 준비 중입니다. 톰슨은 뉴욕타임스에서의 성공적인 구독 비즈니스 모델을 만든 경험을 바탕으로, 케이블 TV의 쇠퇴를 인정하고 인터넷을 통한 배포와 수익 창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전략이 CNN에게도 어울릴지, 또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행될지는 여전히 불확실합니다.

• 기억해 둘 것 : CNN은 과거의 실패에서 배우고 디지털 전환을 추구하면서도 선형 TV 상품의 가치를 유지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마크 톰슨 아래에서 CNN이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되며, 이러한 변화가 회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변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방향성과 결단력 있는 실행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How I would handle CNN’s digital transition
If the network is to succeed in its pivot to digital, it’ll be on the back of its original reporting, not talking heads.
마크 톰슨이 공개한 ‘CNN의 미래’ 전략
취임 100일만에 CNN 미래 전략의 큰 얼개를 공개
‘CNN+’ 종료 ≠ 뉴스 유료구독 모델 실패
CNN+가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 문을 닫기로 결정했습니다. 퀴비의 종료가 서비스 개시 7개월 만의 일이었는데요. 이와 비교될 만큼 빠른 의사결정이었습니다. CNN+의 론칭을 준비하기 위해 들인 시간과 공에 비하면 다소 성급하다는 판단이 들 정도입니다. CNN+의 종료 결정은 미디어 산업 전반에 상당한 파장을 낳을 것으로 보입니다. 무엇보다

[5] 비트코인 최고가 경신 속 암호화폐 '변동성 주의보'

비트코인이 최고가를 경신한 가운데, 여러 암호화폐 가격이 하루에도 수십 퍼센트씩 출렁이며 피해를 보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국내 거래소가 적극적으로 투자자 보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단 지적도 나옵니다.

• 왜 중요하냐면 : 암호화폐 시장에선 큰 폭의 가격 변동으로 인한 투자 리스크가 부각됩니다. 특히 국내 거래소에 상장된 일부 알트코인(비트코인 외 암호화폐들)은 큰 폭의 가격 변동을 겪으며 투자자 보호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단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 더 많은 정보 : 이런 엄청난 변동성은 비트코인에서도 나타납니다. 6일 새벽, 비트코인은 역대 최고가를 경신한 후 몇 시간 만에 큰 폭으로 하락했는데요. 이러한 변동성은 특히 밈 코인과 같이 구체적인 가치 기반 없이 거래되는 자산들에서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기억해 둘 것 : 암호화폐 시장의 급등락은 투자자들에게 큰 수익 기회를 제공할 수 있지만, 그만큼의 리스크도 동반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국내 거래소들은 투자자 보호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결정은 결국 투자자의 몫입니다. 특히 밈 코인과 같이 정보가 부족한 암호화폐에 대해서는 더욱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트코인 출렁 나비효과…알트코인 반토막 비명
핵심요약 비트코인 가격 급등세가 부각된 가운데 여러 가상자산 가격이 하루에도 수십 퍼센트씩 오르내리면서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재미를 위해 존재하는 가상자산, 이른바 밈코인으로 분류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