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만들고 AI가 사는 시대" - AI가 광고 업계 집어삼킨다
"소비자 아닌 AI 위한 광고 만들어라" - AI가 광고 업계에 던지는 메시지💡지난 6월 16일 프랑스 칸에서 세계 최대 광고제 칸 라이언즈(Cannes Lions)가 열렸는데요. “광고는 사회를 바꾸는 창의력의 힘”이라는 찬사 속에서도, 현장의 광고인들은 위기감을 느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AI입니다. 메타(Meta)의 마크 저커버그는 “광고 목표와
"소비자 아닌 AI 위한 광고 만들어라" - AI가 광고 업계에 던지는 메시지💡지난 6월 16일 프랑스 칸에서 세계 최대 광고제 칸 라이언즈(Cannes Lions)가 열렸는데요. “광고는 사회를 바꾸는 창의력의 힘”이라는 찬사 속에서도, 현장의 광고인들은 위기감을 느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AI입니다. 메타(Meta)의 마크 저커버그는 “광고 목표와
[1] “기술보다 대화 먼저”…뉴욕타임스 AI팀, '현장 수요' 중심 전환💡생성AI 도입을 둘러싼 언론사들의 고민이 깊어지는 가운데, 뉴욕타임스가 기술보다 사람과 문화를 중심에 둔 이례적인 접근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3년 말 신설된 ‘AI 이니셔티브 에디토리얼 디렉터’ 직책을 맡은 잭 수어드(Zach Seward)는 “기술 도입보다 더 중요한 것은 조직 전체의 상상력을
'매그니피센트 7' 시대 저무나? 엔비디아 이탈, 투자 판도 변화 예고!📉 엔비디아, 호재에도 역대급 순매도…개인 투자자금 이탈 심화 💡한때 주식시장을 주도했던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메타, 테슬라, 엔비디아—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JP모건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대형 기술주가 개인 투자자
83조원 규모 '토큰세'로 AI 실업 대응? 앤트로픽 CEO의 해법💡"일자리 소멸은 이미 시작됐다"는 흥미로운 블로그 글이 있어 소개합니다. 앤트로픽 아모데이 CEO의 말에서 시작한 이야기인데요. 아모데이는 최근 첫 개발자컨퍼런스에 나와 직접 아래처럼 말했습니다. "AI는 주니어급 화이트칼라 직업의 절반을 없앨 수 있다. 향후 5년 내에 실업률은 10~20% 급등시킬 수도 있다"
[1] 네이버 '치지직', MLB 주요 경기 유료화…수익 다변화 시동네이버의 실시간 중계(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이 미국 메이저리그(MLB) 주요 경기를 유료로 제공하는 '프라임 콘텐츠' 서비스를 30일 선보이며 본격적인 수익화에 나섰습니다. 회차별 구매 방식으로 운영되며, 첫 유료 중계 경기인 LA 다저스와 뉴욕 양키스전은 시청 요금이 약 2,000원 수준으로 책정됐습니다. 플랫폼의
[1] 한국 진출 오픈AI, 영업팀 채용에 눈길 집중오픈AI가 한국 지사를 설립한다는 소식이 나온 직후, 채용 정보가 벌써 올라오고 있습니다. 당장은 영업 혹은 CS 분야에서만 채용 중이며, 최소 5~10년 경력의 리드급만 채용하는 모양입니다. 오픈AI의 채용 정보에서도 경력직 선호, 특히 (흔히 말하는) 문과 직무의 경력직 선호 현상이 뚜렷하게 보이네요. 물론 이는
[1] 구글 '스마트 글래스' 재도전? 삼성-젠틀몬스터 손 잡고 10년 전 실패 잊을까💡구글이 삼성의 하드웨어를, 젠틀몬스터의 디자인을 탑재한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AI 에이전트가 시장의 미래로 떠오르는 가운데, 사용자와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낼 수 있으면서도 가장 다양하고도 많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를 놓치지 않고 싶은 모양입니다.Image: Google역대급
애플, 결제 개방에도 불구하고 '전환율 급락'…웹 결제는 정답일까?💡애플이 법원 판결에 따라 미국 내 앱 개발자들에게 자사 인앱 결제 시스템(IAP)을 우회할 수 있는 길을 열었지만, 초기 실험 결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웹 결제를 활용한 실험에서는 인앱 결제 대비 전환율이 최대 45%까지 낮은 것으로
[1] 네이버, 롯데카드 인수? 포시마크 이후 최대 M&A 되나국내 포털 1위 네이버가 롯데카드 인수를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매각 주관사 UBS로부터 회사소개서(티저레터)까지 받는 등 생각보다 본격적인 듯한데요. 핀테크와 커머스 두 개 영역에서 시너지 효과를 노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네이버는 현재 네이버페이를 통해 결제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는데요. 롯데카드
[1] 이렇게 쓰면 칼퇴 보장! 효율적인 프롬프트 공식 5가지 🚀매번 챗GPT에게 어떻게 질문해야 할지 막막했나요? 결국 '기계와의 대화 잘하기'의 문제일텐데요. 통상은 구글의 프롬프트 가이드북에서 제시한 '역할(Role)-맥락(Context)-작업(Task)-형식(Format)' 등 4가지 요소를 활용하는게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다만, 이것이 모든 상황에 맞춤은 아닐 수 있겠습니다. 아래는
[1] 트럼프의 애플 압박, 현실성 있을까?💡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애플을 향해 "아이폰은 미국에서 생산해야 한다"고 직접적으로 압박하고 나서면서, 애플이 미국 내 생산이라는 어려운 과제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애플은 수년간의 미·중 갈등 속에서 중국 중심의 생산 거점을 인도로 이전해왔으나, 이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경한 보호무역주의 앞에서 현실적인 세 가지
디지털 시대, "뉴스란 무엇인가"💡디지털 미디어의 폭발적인 증가와 정보, 오락, 의견의 경계가 모호해진 환경 속에서, 뉴스는 여전히 유효할까요? Pew Research Center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당신에게 뉴스란 무엇인가?"를 물었습니다.✅ 사실성, 최신성, 중요성이 뉴스의 핵심 기준 Pew Research Center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대다수는 뉴스를 판단하는 세 가지 핵심 기준으로
2024년 흑자전환에 성공한 스타트업들지난해는 스타트업들에게 무척 힘든 한해였습니다. 불경기와 불안정한 정세의 영향을 스타트업들이 유독 크게 받은 해였는데요. 그럼에도 흑자를 낸 스타트업이 많은데요. 어느 스타트업들이, 어느 분야에서 흑자전환에 성공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혁신의숲 기준으로 지난해 흑자전환에 성공한 스타트업은 총 647개사입니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 스타트업 7곳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그래픽=혁신의숲비바리퍼블리카(토스) 영업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