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만들고 AI가 사는 시대" - AI가 광고 업계 집어삼킨다
"소비자 아닌 AI 위한 광고 만들어라" - AI가 광고 업계에 던지는 메시지💡지난 6월 16일 프랑스 칸에서 세계 최대 광고제 칸 라이언즈(Cannes Lions)가 열렸는데요. “광고는 사회를 바꾸는 창의력의 힘”이라는 찬사 속에서도, 현장의 광고인들은 위기감을 느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AI입니다. 메타(Meta)의 마크 저커버그는 “광고 목표와
"소비자 아닌 AI 위한 광고 만들어라" - AI가 광고 업계에 던지는 메시지💡지난 6월 16일 프랑스 칸에서 세계 최대 광고제 칸 라이언즈(Cannes Lions)가 열렸는데요. “광고는 사회를 바꾸는 창의력의 힘”이라는 찬사 속에서도, 현장의 광고인들은 위기감을 느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AI입니다. 메타(Meta)의 마크 저커버그는 “광고 목표와
Picks[1] 유명 애널리스트가 X(트위터)를 떠난 이유는?이번 주 월요일, 유명 테크 애널리스트 베네딕트 에반스(Benedict Evans)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Leaving Twitter'라는 제목의 에세이를 올렸습니다. 2007년부터 써왔던 X(옛 트위터)에 앞으로 글을 올리지 않겠단 소식이었습니다. 그는 X에 팔로워 39만 명 짜리 계정을 보유 중인데요. 그럼에도 현재 X의
Pick 이-팔 전쟁 가짜뉴스, 소셜미디어 책임?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러난 현대전의 양상 중 하나는 바로 '가짜뉴스' 살포를 통한 온라인 여론전이 활발하단 점이었습니다. 얼마전 시작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에서도 그 양상이 나타나고 있는데요. 그에 대한 X(옛 트위터), 인스타그램, 틱톡 등 소셜미디어의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틱톡이 전쟁비용을 7달러로 낮췄다" 틱톡에선 이-팔 여론전 참가비용이 단
Pick카카오톡은 왜 인스타가 되고 싶어할까지난 9월, 카카오톡은 새로운 기능을 업데이트했습니다. '펑'이라는, 일상 공유 기능입니다. 인스타그램의 스토리 기능과 판박이라는 지적이 많은데요. 카카오톡도 "메신저 기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인스타그램과의 유사성을 은근히 인정했습니다. 카카오톡은 왜 인스타그램을 따라가려 할까요? '펑', 어떤 기능일까 ⓒ카카오'펑'은 게시 후 24시간 동안만 확인할 수 있는 일상 공유용 사진, 동영상입니다.
Pick1위는 챗GPT...생성 AI 2위는?올해 테크 분야 핵심 키워드는 역시 생성 AI입니다. 날이 갈수록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생성 AI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늘 날 세계는 생성 AI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을까요? a16z(안드레센 호로위츠)가 분석한 글로벌 생성 AI 사용 동향을 소개합니다. 생성 AI 이용자 수 순위...2위는? a16z는
Picks챗GPT➕ DALL·E 3, 이미지 AI의 새 모델오픈AI의 AI 응용 소프트웨어는 크게 셋으로 나뉘는데요. 챗GPT(대화), DALL·E(이미지), OpenAI(게임)입니다. 그중 챗GPT와 DALL·E(달리)가 손을 잡습니다. 챗GPT🤝DALL·E, 그림 인공지능의 신시대? DALL·E 3🤝ChatGPT pic.twitter.com/90ITkUAln2 — OpenAI (@OpenAI) September 21, 2023
Picks[1] 'AI 민주화'의 득실, 오픈소스AI 찬반론오픈AI와 구글이 AI 전쟁을 벌이는 동안, 조용히 둘을 뒤따라온 세력이 있는데요. 바로 오픈소스AI입니다. 오픈소스AI는 특정 기업이나 개인이 아니라 'AI의 오픈소스화'에 동의하는 여러 기업, 커뮤니티들이 모인 세력을 지칭합니다. 빅테크 중에선 메타가 여기 속합니다. AI 오픈소스란? AI 오픈소스화는 AI 업계에서 뜨거운 감자가 됐습니다. 오픈소스는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를
[Pick] 애플에 드리운 중국의 그림자? 💡미중 갈등이 쉽게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특히 반도체와 테크 산업을 중심으로 한 갈등은 점점 더 심해지고 있습니다. 미국은 중국과의 반도체 거래를 사실상 중단했고, 중국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광범위한 반미 명령을 내리고 있습니다. 애플에게 그 불똥이 튀고 있습니다. 드디어 드러난 애플의 '차이나 리스크' 중국 당국이
[Pick] ‘AI 팀원’ 믿을 수 있을까?💡AI의 성능은 평균적으로 1년에 5~100배까지 발전한다고 합니다. 반도체의 집적도가 2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보다 5~100배 빠른 것입니다. 그렇다면 AI가 단순히 ‘도구’를 넘어 ‘팀원’이 될 날이 올까요?인간-AI 협업, 생산성 더 높아 인간끼리의 협업보다 인간-AI 간 협업이 더 높은 생산성을
[Pick] '클로바X'🆚 챗GPT8월 24일, 네이버가 일명 한국형 챗GPT,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했습니다. 아직은 베타 서비스 중인 탓에 서버가 불안정해서인지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대기 등록을 해야 합니다. 3시간에 질문을 최대 30개만 할 수 있기도 합니다. 이번 Pick에선 많은 기대를 받았던 클로바X가 개발된 배경과 사용 후기를 소개하겠습니다. 국산 생성AI, 클로바X가 개발된 배경은?(왼쪽) GPT-4의 언어별
Pick'킬러 서비스'에 목마른 AI 기업들챗GPT 트래픽이 두 달 연속 감소 중입니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소비자를 위한 '킬러 서비스'가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하는데요. 오픈AI는 첫 인수합병 대상으로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을 선택하면서 킬러 서비스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했습니다. 킬러 서비스란? 킬러 서비스, 또는 킬러 앱은 '시장에 등장하자마자 다른 경쟁 제품을 몰아내고 막대한 수익을 올리는
Pick[1] 서브스택 ‘약속’ 기능, 850만 달러 벌었다서브스택(Substack)은 올해 초 약속(Pledge)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약 반 년이 지난 지난 달에, 서브스택은 해당 기능 덕분에 작가들이 850만 달러 수익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약속' 기능이란? 약속 기능은 뉴스레터 플랫폼 서브스택이 올해 1월에 도입한 신기능입니다. 뉴스레터 작가들이 자신의 콘텐츠를 유료로 전환하기 전에,
Picks네이버와 카카오가 최근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네이버는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카카오는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는데요. 덕분에 네이버, 카카오 모두 주가가 상승세에 올랐습니다. 하지만 둘 모두 지난해 초부터 겪고 있는 경영난을 아직 해소하진 못했습니다. 두 기업 모두 AI와 해외 사업에서 성장 동력을 찾고 있습니다. (1) 네이버, 넓고 안정적으로 성장 중!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