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북

[논문 번역] 탈출하라: AI가 플랫폼에 대한 뉴스 조직의 종속성을 재편하는 방법

무료 회원가
₩11,000
유료 회원가
무료
결제금액
₩11,000

가급적 한 달에 한 편 정도는 논문을 번역해서 소개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옥스퍼드 인터넷 연구소 펠릭스 사이먼이 2023년 11월 발표한 논문 'Escape Me If You Can: How AI Reshapes News Organisations’ Dependency on Platform Companies'를 번역했습니다. 기술 플랫폼에 의한 '인프라스트럭처 포획'을 개념을 활용하여, 생성 AI가 앞으로 종속의 유형을 어떻게 재편하게 되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미국, 영국, 독일 등 33개 언론사 121명의 언론 종사자를 인터뷰했고, 전문가 31명도 별도로 취재를 했다고 합니다. 앞으로 언론사의 플랫폼 종속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는지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논문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지금 다운로드해서 읽어보세요. 유료 구독자는 무료로 다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블루닷 오웰이 서문을 요약 정리한 결과

플랫폼 기업들, 예를 들어 구글이나 아마존, 메타, 마이크로소프트는 뉴스 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기업들은 최근 몇 년 간 인공지능(AI)의 연구와 개발에 앞장서며, 저널리즘 분야를 혁신적이고 유익한 방법으로 변화시킬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대형 언어 모델(LLM)과 소위 '생성 AI'의 발전은 플랫폼 기업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구조적 우위와 방대한 기술 인프라를 활용하여 AI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는 점을 드러냈습니다(Lehdonvirta 2023).

언론사가 플랫폼 기업에 의존하는 경향은 이미 유통 부문에서 나타나고 있으며(Nielsen and Ganter 2022), AI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그 의존도가 심화되어 언론사의 독립성과 통제력 상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장은 언론사가 AI 분야의 주요 선수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이 부족하다는 사실 때문에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Simon 2022). 그럼에도 이 주장은 대부분 이론적인 면만 다루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집니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주장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려 시도하고 있습니다. 미국, 영국, 독일 등 여러 국가의 주요 언론사 종사자 121명과 전문가 31명과의 인터뷰 및 추가 자료를 바탕으로 AI 도입이 어떻게 유통면에서 기존 의존성을 심화시키고 생산면에서 새로운 의존성을 만들어내며, 결과적으로 언론사의 플랫폼 기업 의존도를 재정립하는지 보여줍니다.

해당 국가들의 공공 서비스 및 상업 뉴스 조직은 직·간접적으로 플랫폼 회사들이 제공하는 AI에 크게 의지하면서 뉴스 생산과 유통 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비싼 개발 비용, 플랫폼 회사와 경쟁할 때 나타나는 자체 자원(데이터, 전문 지식, 인력 및 컴퓨팅 파워)의 한계와 저널리즘이 추구해야 할 사명과 역할에 관한 다양한 견해 등이 이러한 현상을 부추기는 요소입니다. 많은 언론사 관계자들은 AI로 인해 플랫폼 회사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였으나 그 정도나 중요성 및 영향 범위 등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보였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저널리즘의 독립성 문제와 함께 제도적 관점에서 이 문제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인상적인 문구들

AI의 도입이 유통 측면에서는 기존의 의존성을 악화시키고 생산 측면에서는 새로운 의존성을 도입함으로써 언론사의 플랫폼 기업에 대한 의존성을 재편하고, 플랫폼 기업이 뉴스 조직에 더 큰 인프라적 통제력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형태의 제도적 동형성, 즉 "특정 분야의 조직이 다양한 차원에서 서로 닮아가는 경향"은 AI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납니다(DiMaggio와 Powell 1983; Napoli 2014, 351; Caplan과 boyd 2018). 조직은 불확실성과 관련 위험을 줄이기 위해 서로를 모방하기 때문에 불확실성은 종종 모방적 동형 구조의 원동력이 됩니다.

퍼블리셔는 플랫폼의 AI를 활용해 혁신을 이룰 수 있지만, 플랫폼 기업이 기술과 인프라에 대한 실질적, 계약적 통제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랫폼 기업이 설정한 제약 내에서만 혁신을 이룰 수 있습니다(Simon 2022).

여기서 가장 큰 위험은 아마도 저널리즘 작업의 요소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하는 것이 아니라 제도로서의 뉴스의 구조적 약화일 것입니다(Jungherr and Schroeder 2021 참조). 게이트키핑의 사회기술적 사슬이 AI에 의해 재편됨에 따라, 플랫폼 회사 형태의 '외부인'은 저널리즘이 미래에 필요로 하는 기술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의 게이트키퍼가 되면서 이 과정의 기술적 요소에 대해 더 많은 통제권을 갖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