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뜯어봐도 오늘 발표된 네이버 뉴스 정책은 네이버의 신의 한수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네요. 일석삼조 아니면 일석사조? 수익이 보증되는 환경을 수익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경쟁 환경으로 전환함으로써 내부비용도 줄이고 양질 경쟁을 유도하며 동시에 소액이나마 (순익없는) 광고매출 증대도 꾀할 수 있게 된 거죠. 실검 이슈도 완화할 수 있는 효과도 일부 기대할 수 있고. 밑질 게 거의 없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유튜브도 마찬가지지만 보증 수익이 아니라 기대 수익의 증대를 자극하고 유도할 때 플랫폼의 통제력은 높아지게 됩니다. 수익을 증대시키는 룰의 영향에 더 노출되기 때문입니다. 플랫폼이 건강한 철학을 유지하면 이 생태계는 아름다워질 수도 있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그리고 통상 이러한 경쟁의 룰은 양극화를 초래하기 마련입니다. 네트워크 공간의 멱함수 법칙이 작동하기 의한 좋은 조건이 되기 때문일 겁니다. 분명 잘하는(잘되는) 언론사는 기존보다 더 큰 수익을 얻어갈 기회를 쥐게 될 것이고 아닌 곳은. 음. 3년 뒤의 모습이 자뭇 궁금해집니다.
스마트 미디어 스튜디오는 뭐랄까요 언론사 비즈니스 원스톱 서비스 같다고나 할까요? 언론사의 비즈니스 창구을 집중시키는 효과를 낼 수도 있을 듯하네요. 네이버페이의 위력에 네이버챗봇까지 가세해서 독자관리까지 해주면. 만약 네이버 클라우드와 연동시킬 때만 작동하는 어떤 기능까지 결합시키면.
하지만 세상은 늘 예상치도 못했던 우연한 변수에 의해 또다른 변화의 계기가 마련되기도 하죠. 그래서 오늘의 예상이 별 의미가 없을 수도 있을 겁니다. 아래 글은 이런 맥락에서 나름대로 정리를 해본 것입니다
당신이 놓친 글
[Briefing] 구글, 크롬 매각할까?
by
2024년 11월 20일
'답변' 대신 '탐색' 택한 네이버 AI 검색, 언론사에 미칠 영향은?
by
2024년 11월 15일
네이버 AI검색, ChatGPT 서치와 무엇이 달랐나
by
2024년 11월 11일
KBS, SBS뉴스, 연합뉴스...국내 언론사의 ChatGPT 검색 크롤링봇 대응 전략은
by
2024년 11월 3일
더코어 스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