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은 배달 서비스의 진화를 낳고 있습니다. 바로 신속(Ultra-fast) 배달서비스의 탄생과 성장입니다. 이들 기업은 최대 10분 안에 생필품, 음료 등을 배달합니다. 아마존의 생필품 배달 시간은 2시간입니다. 아마존마저 이들 신속 배달 서비스에 밀리기 시작했고, 전통 리테일 기업은 이들 신속 배달 서비스와 다양한 합종연횡을 진행하면서 아마존에 대항 전선을 형성하는데 성공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마존이 생필품 신속 배달서비스 기업을 인수하려는 움직임이 보도되었습니다. 이 글은 생필품 신속 배달 서비스의 시장 상황과 전망을 분석합니다.

21년 6월 9일 블룸버그는 아마존과 미국의 신속 배달서비스 기업 GoPuff는 각각 독일의 신속 배달서비스 플링크(Flink)와 인수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신속 배달서비스는 아래 글에서 간략히 소개하고 있습니다.

락다운(Lockdown)이 강타한 북미와 유럽에서 크게 성장한 서비스는 생필품 및 음식 신속 배달서비스입니다. 대표적 기업은 미국의 GoPuff, 터키의 Getir, 독일의 Gorilla 등입니다. 북미와 유럽에서 체인화되어 있지 않는 마트의 비율은 매우 작습니다. 이들 대형 마트 체인은 한국의 오토바이 배달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않았습니다. 이 틈새를 GoPuff 같은 배달 서비스가 뛰어들었습니다. 또한 북미와 유럽에는 한국 아파트 경비원이 없습니다. 한국 아파트 경비원은 배송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계십니다. 경비원이 없다보니 분실 사고가 많이 발생합니다. 소비자 입장에선 새벽배송이 그렇게 매력적이지 않습니다. 새벽 도둑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한번 상상해 보십시요. 스마트폰에서 주문을 클릭한 이후 최대 30분 안에 배송이 끝난다면 어떨까요? 소비자는 집에 머물면서 배송을 받을 충분한 시간 여유가 있을 겁니다. GoPuff는 30분, Getir와 Gorilla는 10분 배송을 약속하고 있습니다. 주문한 소비자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마트 또는 공영주차장에 장기 주차한 컨테이너에서 배송이 시작됩니다.
광고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이커머스: 광고시장의 중심 이동
이윤율이 낮은 상거래만으로 이커머스 기업이 성장하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아마존 뿐 아니라 다수 이커머스 기업들이 디지털 광고시장을 노리기시작했습니다. 최근에야 이커머스에서 성과를 내기시작한 월마트, 2020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급성장한 생필품 배송 기업이 아마존의 광고 비즈니스를본격 따라하기 시작했습니다. 구글과 애플 그리고 각국 정부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이 이른바 Third party data 활용을 어렵게 하고있습니다. 이커머스 기업은 고객의 취향과 생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는 First party data을 확보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