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오픈AI 직원들, 머스크의 소송 지지
[1] 영리 기업 전환 둘러싼 진통과 소송전 12명의 전직 오픈AI(OpenAI) 직원들이 일론 머스크의 소송을 지지하며 인공지능 스타트업의 영리기업 전환에 대한 비판적 의견을 법원에 제출하겠다는 허가를 요청했습니다. 이들은 지난 금요일 캘리포니아 지방법원에 제출한 서류를 통해 "오픈AI 비영리 조직이 지배적 역할을 포기하는 기업 구조 변경에 동의한다면, 이는 근본적으로 조직의 사명을 위반하는
[브리핑] 딥시크, 챗GPT 제쳤다?
[1] 딥시크, 한 달만에 챗GPT 트래픽 제쳐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챗봇 서비스가 한 달 만에 월간 트래픽 면에서 오픈AI의 챗GPT를 제쳤습니다. 현재 딥시크는 무료로 제공되는데, GPT-4 수준의 훌륭한 성능을 통해 아시아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딥시크는 지난 2월 월간 방문 수 5억2470만회를 기록하면서 5억회였던 챗GPT를 넘어섰는데요. 2월 순방문자수만 해도
330만 원 아이폰 현실화? - 트럼프 관세 정책 파장
“세탁기부터 아이폰까지”...트럼프 관세 정책, 소비자 지갑 위협한다💡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전면적인 관세 정책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무역 질서가 다시 흔들리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가장 먼저 타격을 입는 것은 다름 아닌 ‘일반 소비자들’인데요. 로이터가 과거 유사한 사례들을 통해 이번 관세 조치가 세탁기, 타이어, 텔레비전, 그리고 스마트폰까지 일상 속 제품들에 어떤
[브리핑] 노벨상의 조건: 1915-2016년 노벨상 데이터를 분석해보니
노벨상의 조건💡세상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특히 과학 분야에서)을 하나만 꼽으라고 투표를 한다면 아마 노벨상이 1등을 차지할 것입니다. 따라서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의 역사를 살펴본다면 과학 발전의 역사를 흥미롭게 엿볼 수 있습니다. 과학 연구의 선두가 어디인지, 어떤 사람과 기관이 그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Brian Potter가
[브리핑] 챗GPT의 '지브리' 이미지, 저작권 이슈는?
[1] 챗GPT로 만든 이미지는 저작권에서 자유로울까?챗GPT가 새로운 이미지 생성 기능을 공개한 뒤, 곳곳에서 다양한 이미지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브리, 디즈니 등 특정 화풍으로 이미지를 재해석한 이미지들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이런 기능은 챗GPT가 다양한 애니메이션 작품의 화풍을 학습했음을 전제로 해야 하는데요. 하지만 이를 위해 오픈AI가 지브리를 비롯한 애니메이션 제작사들과 저작권
테슬라, '로보택시'로 상승 반전 기대한다?
[1] 로보택시에 테슬라가 건 기대테슬라 주가는 올해 들어 40% 넘게 급락했습니다. 하지만 희망은 있습니다. 바로 자율주행차 호출 서비스, '로보택시' 사업입니다. 현재 로보택시에서 가장 앞서 있는 기업은 알파벳의 자율주행차 개발사 웨이모입니다. 현재 피닉스(애리조나), LA·샌프란시스코(캘리포니아), 오스틴(텍사스) 4개 지역에서 서비스 중인 웨이모는 우버와 손을 잡는 등 적극적으로 사업을 전개
'오픈AI, 이젠 컨슈머 테크 기업' - 샘 알트만 CEO 인터뷰
'오픈AI가 컨슈머 테크 기업이 된 이유' 샘 알트만 & 벤 톰슨 인터뷰💡벤 톰슨과 샘 알트만의 인터뷰가 공개됐습니다. 인터뷰의 큰 주제는 'AI와 컨슈머 테크 기업'이지만 커리어와 관련된 조언들도 많고, 샘 알트만과 오픈AI의 생각이 잘 드러난 인터뷰이니, 나이를 불문하고 전문을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오늘 브리핑에선 일부만 번역해 소개드립니다.(BT=벤 톰슨, SA=
[브리핑] 구글 Gemini에 개인화 기능 추가
[1] 구글, 제미나이에 개인화 기능 추가… 맞춤형 AI 지원 강화구글이 AI 챗봇 제미나이(Gemini)에 새로운 개인화 기능을 추가하며 맞춤형 AI 경험을 강화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제미나이는 사용자의 구글 검색 기록을 분석해 보다 개별화된 응답을 제공할 수 있으며, 향후 유튜브, 구글 포토 등 다른 서비스와도 연동될 예정입니다. 제미나이의 개인화 기능은
[Report] 올해 1분기 시장 분석(by Redpoint)
[1] 올해 1분기 시장 분석 by Redpoint💡벌써 3월의 절반을 지나며 올해 1분기가 끝나갑니다. 다사다난했던 올 1분기, 시장에선 어떤 일이 있었는지 미국의 벤처캐피탈 Redpoint의 분석 중 흥미로운 지점들을 훑어보겠습니다. 전체 분석 자료는 아래 구글 드라이브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Public Markets(공적시장) 거시적으로는 부정적 전망이 가득합니다. 실제로 트럼프 리스크가 커지며 시장
"AI와 폼팩터!" - MWC 2025 핵심 트렌드 총정리
MWC 2025가 보여준 '가능성'들💡MWC(Mobile World Congress)는 매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모바일 전시회로, 다양한 테크 기업들이 자사 기술을 뽐내는 자리입니다. 올해는 200여개국에서 메타, 아마존, MS, 삼성 등을 포함한 2,780개 기업이 참여했습니다. 올해 MWC에는 유별나게 독특한 기술들이 많이 보였는데요. The Verge에선 MWC 2025를 "가능성에 관한 전시였다"라고 평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