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이슈] 美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글로벌 금융 질서 바뀔 것"
3️⃣세 줄 요약! 1. 미국 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 거래를 승인하며 크립토 산업의 확장에 속도가 붙었습니다. 2. 우리나라도 크립토를 제도화해야 한단 목소리가 나오지만, 실현 가능성은 무척 낮습니다. 3. 크립토로 인해 금융시스템은 크게 바뀌겠지만, 크립토가 국제적인 법정화폐로 인정 받기까진 아직 갈 길이 멉니다.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10일(현지시간) 비트코인
로빈슨 크루소가 경제학 서적에 나오는 이유는?
대니얼 디포가 발매한 1719년 소설 <로빈슨 크루소> 속에서 로빈슨 크루소는 28년 79일간 표류한 끝에 조국으로 돌아갑니다. 하지만 로빈슨 크루소의 모험은 끝나지 않았는데요. 3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그는 온갖 경제 이론의 예시에 동원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마르크스의 <자본론>, 케인즈의 <고용, 이자, 화폐의 일반이론> 등에서 로빈슨 크루소의
2024년 분야별 전망 모음
2024년 리포트 전망을 분야별로 정리해봤습니다. 이전에도 올해 전망 리포트들을 몇 차례 소개한 적 있는데요. 이번엔 ① 콘텐츠·미디어 ② 소비자 성향 ③ 푸드 ④ 여행 ⑤ 크립토 ⑥ 마케팅 ⑦ 직업 ⑧ 헬스케어 분야의 전망 리포트들을 링크와 함께 소개합니다. 같은 분야라도 리포트를 작성한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주안점과 인사이트가 다르단 점을 생각하며 읽으시면 더 재밌을 듯합니다. 1. 콘텐츠 · 미디어유튜브는
[AI 규제] 중국이 쌓는 '인공지능 만리장성'
3️⃣세 줄 요약 1. 중국 정부의 AI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습니다. 2. AI에 의해 체제가 흔들릴 수 있단 걱정 때문인데요. 3. 중국 정부는 AI 산업을 입맛에 맞게 발전시킬 계획입니다.Intro인공지능(AI)이 중국 정부의 '규제 1호'가 됐습니다. 전 세계 모든 국가가 AI의 효용에 주목하면서도 악용 가능성을 줄이려 노력 중인데요.
[브리핑] LG·삼성전자 4분기 실적 요약 外
3️⃣세 줄 요약 1. LG전자와 삼성전자 등 국내 대기업들의 실적 발표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2.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시장 기대에 못 미쳤는데요. 3. 그럼에도 확연한 회복세를 보인 덕분에 긍정적인 평가도 많습니다.Intro이번 주 월요일, LG전자가 2023년 4분기 및 연간 실적을 발표하면서 실적 시즌이 개막했음을 알렸는데요. 기업의 4분기 실적 발표는 연간
'광고 모델'의 퇴조 현상...'Ad-free'의 부상
광고 매력 사라진 레거시 미디어‘광고 요금제’ 혹은 ‘광고 없는 요금제’가 흔해지고 있습니다. 이젠 돈만 있으면 플랫폼의 광고로부터 벗어날 수 있습니다. 유튜브 프리미엄, 넷플릭스 등 OTT 서비스의 광고 없는 요금제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젠 소셜미디어도 광고를 없앨 수 있는 유료 기능을 출시 중인데요. 작년 10월엔 X(옛 트위터)가 광고
다가오는 CES, 무엇을 보여줄까?
3줄 요약 3️⃣3줄 요약 1. 세계 최대 ICT 전시회 CES가 1월 9~12일 개최됩니다. 2. AI와 모빌리티가 주요 키워드로 꼽히는데요. 3. 국내 기업들도 다수 참여해 좋은 모습을 보일 전망입니다.CES 2024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현지 기준)1월 9일부터 12일까지 열릴 예정입니다. 이번 CES의 키워드는 ‘모든 산업과 AI의 융합’인데요. 기업들이
[Briefing] "위대한 탈출" 골드만삭스&한국은행의 2024년 경제 전망
3️⃣2024년을 앞두고 골드만삭스와 한국은행의 내년 경제 전망 보고서를 살펴봤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미국 연준이 금리 인하를 시사하는 등 이번 연말엔 기대되는 소식들이 많은데요. 내년 경제가 그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을까요? 세 줄 요약! 1. 골드만삭스와 한국은행이 내년 경제에 대해 꽤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2.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경제는 고비를 넘기고
[브리핑] 구글, '인앱결제 소송' 패소...한국도?
3️⃣세 줄 요약! 1. 구글이 에픽게임즈와의 반독점 소송에서 3년 만에 패소했습니다. 2. 미국 법원은 구글이 앱스토어를 통한 인앱결제를 강제해선 안 된다고 판단했는데요. 3. 구글은 국내에서도 비슷한 사안으로 규제 기관과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1. 소송의 목적무슨 일이냐면 구글이 자사 앱스토어(구글 플레이)의 유료 결제 방식을 두고 게임사 에픽게임즈와 벌인
평균의 시대, 기회의 시대
"독특하고 창의적인 것은 줄고, 평균적이고 진부한 게 늘고 있다." 이 글에선 Epoch의 전략 디렉터 알렉스 머렐(Alex Murrell)의 글 '평균의 시대(The Age of Average)'를 참고해서 주요 메시지를 소개합니다. 알렉스 머렐은 풍경화, 영화, 패션, 광고까지 예술과 창작이 더 이상 독특함이나 창의성이 아닌 평균과 진부함에 의존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해프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