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위기 3가지 & 'AI' 서두르지 않는 이유는?
미국 연준(Fed)이 금리 인하를 예고한 이후 나스닥, S&P500, 닛케이225, 스톡스600 등 각국 주가 지수가 사상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애플 투자자들의 표정은 밝지 않습니다. 애플 주가는 작년 12월 14일 사상 최고가인 199.62달러를 기록한 후 우하향 중입니다. 특히 애플 투자자에게 지난 주 주가 하락은 특히 뼈 아팠을
"구글 CEO 교체해라" - AI 경쟁 속 리더십 비판
[브리핑 - 1] 구글에게 필요한 변화는?구글이 최근 제미나이(Gemini)의 이미지 오류로 위기에 빠져 있는 가운데 CEO 교체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미지 오류? 미국 '건국의 아버지'나 2차대전 당시 독일군의 이미지를 흑인 등 유색인종으로 그려낸 사례 등이 많이 보도됐었는데요. 서비스 중단 후 구글의 CEO 순다 피차이는 전 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글로벌 주식 시장의 불안한 성장, 답은 또 AI?
최근 세계 주식시장이 무척 뜨겁습니다. 특히 S&P 500 지수는 지난 1월, 2년 만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2월엔 더 올라서 5,000P를 넘겼습니다. 2월 중순을 넘어가며 이제 사그라드나 싶었는데요(2월 20일 기준 4,975P까지 하락). 2월 22일에 엔비디아가 대단한 실적을 내놓으며 5,090P 가까이 재급등하기도 했습니다. 그 영향인지 유럽과
[브리핑] 애플, 스마트 링・글래스 개발할까?
[1] 애플, 스마트 링・글래스 개발할까?애플이 '스마트 링', '스마트 글래스' 혹은 '카메라가 달린 에어팟' 출시를 논의 중이라고 합니다. 삼성이 '갤럭시 링'을 출시하며 애플도 새로운 AI 디바이스를 내놓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 왜 중요하냐면 : 애플은 과거부터 스마트 링과 글래스에 대한 여러 특허를 출원해왔으며, 이는 회사가 웨어러블 기기 분야에서 새로운 제품을
블록체인, 망가진 인터넷 시대를 고칠 수 있을까
앱스토어 기준 무료 앱 인기차트입니다. 당근(2015년 출시)을 제외하면 모두 10~20년 전 출시한 앱입니다.현재 앱스토어 다운로드 순위에서 최상위권에 위치한 앱 대다수는 대략 10년 전에 출시된 것들입니다. 인스타그램(14년 전), 유튜브(19년 전), X(트위터, 18년 전), 페이스북(20년 전), 틱톡(바이트댄스, 12년 전), 쿠팡(14년 전), 테무(
[브리핑] '마른 하늘 날벼락' 어도비 주가 폭락한 이유는?
오픈AI '소라', 최대 피해자는 어도비?어도비가 오픈AI의 새로운 영상 생성AI ' 소라(Sora)'가 공개된 후 주가 폭락을 경험했습니다. 우선 소라의 작동 원리, 다른 영상 생성 AI와의 차이점, 생성 AI 발전 속도에 관한 설명은 아래 글에 자세하게 서술됐습니다. OpenAI 소라(Sora), 숨겨진 혁명 이야기소라는 3D로 생각하고 2D로 시각화합니다. 소라(SORA)
네트워크 효과란?(+앤드류 첸의 5단계 방법론)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는 모든 커뮤니티와 플랫폼이 매달리는 용어입니다. 네트워크 효과는 ‘특정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그 상품을 소비하는 다른 소비자들의 수요에 영향을 받는 효과’를 뜻합니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넷플릭스 등 거대 플랫폼의 성공 요인을 물어도, 그것들의 성장 가능성을 물어도 “네트워크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대답할 수 있습니다. 만능처럼
[브리핑] '듀오링고'의 급성장 비결은?
[1] 듀오링고의 성장과 마케팅 전략 분석에디터 노트 : 듀오링고가 여전히 무서운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AI(스픽)나 커뮤니티(하이로컬) 기능을 활용한 언어 학습 앱이 여럿 등장하고 있는데요. 그래도 단순 반복과 자연스러운 습득이라는, 외국어 공부의 기초와 가장 잘 어울리는 툴은 게임인 것 같네요.왜 중요하냐면 : 듀오링고가 경쟁이 치열한 교육 앱
[브리핑] 애플 '비전 프로'와 의료 산업 & 콘텐츠 독점 시대의 종말 外
애플, 연말 '생성 AI 혁신' 예고 📗에디터 노트 : 애플이 자세한 계획을 미리 밝히는 일은 무척 드물다고 합니다. 이번 발언에서 AI 역량을 암시하며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의도를 엿볼 수 있는데요. 삼성이 'AI 폰'을 통해 시장의 주목을 독차지한 것처럼, 애플의 AI 기능 예고는 시장 주도권을 조금도 놓지 않겠단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핀테크가 금융 서비스에 가져오고 있는 변화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 등 국내 핀테크 기업들이 31일부터 ‘전월세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핀테크가 더 나은 금융 인프라 구축에 활용되는 일은 환영할 만합니다. 소비자가 느끼는 금융 서비스의 가장 큰 문제는 어렵고 불편하단 것이던 만큼 금융 서비스가 쉬워지고, 편해질수록 소비자 편익이 커질 예정입니다. 그렇다면 핀테크와 함께 금융 서비스는 앞으로 어떻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