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저널리즘 산업이 '멀티모달 AI' 더 주목해야 하는 이유
Prompt : A screen depicting the process of AI creating rich content by inputting voice, image, and video, painting, traditional medium/ Image by Stable Diffusion멀티모달 AI 시대가 훌쩍 다가왔습니다. 이제 텍스트로만 입력하고 텍스트로만 결과값을 받아낼 수 있었던 시기를 서서히 넘어서고 있습니다. 인간의 감각기관 입력 방식을 닮아가는 방향으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고 말할
퓰리처상 작가가 OpenAI 소송 위해 사용한 프롬프트들과 함의
2001년 퓰리처상 '픽션' 부문 수상 작가인 마이클 셰이본(Michael Chabon)이 OpenAI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지난 6월 폴 트렘블레이(Paul Tremblay), 7월 사라 실버만(Sarah Siverman)에 이어 3번째로 제기된 소송입니다. 마이클 셰이본은 2001년 소설 '캐벌리어와 클레이의 놀라운 모험'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했는데요. 당시 뉴욕타임스 등은 이 소설을 두고 "마치 마법의 거미처럼
뉴스레터로 성공한 기자들의 성공 방정식과 차이점
여전히 뉴스레터는 매력적인 뉴스의 유통 채널입니다. 뉴스레터의 힘이 서서히 빠지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는데요.(저 또한 그런 의견을 갖고 있는 한 명이긴 했습니다.) 그런 우려에 아랑곳하지 않고 중요한 뉴스 유통 채널로서 여전히 위력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뉴스레터의 종이 늘어나면서 예전과 같은 폭발적인 성장을 기대하긴 어렵지만 독자의 관계 관리 측면에서 이메일
[언론사람 기고] 뉴스의 위기와 비(非)뉴스 버티컬의 부상
‘넘사벽’ 뉴욕타임스의 뉴스가 위기에 당면했다. 저널리즘의 품질, 가치와는 무관하다. 그것이 벌어들이는 구독 수익의 하락이 보다 또렷해져서다. 지난 7월 발표된 뉴욕타임스의 IR 자료를 보면, 2023년 2분기 뉴욕타임스의 디지털 뉴스 구독자 수는 332만 명으로 전 분기(358만 명) 대비 20만 명 이상이 줄어들었다. 지난해 같은 분기와 비교하면 상황은 더 심각해진다. 2022년 2분기
언론사가 비뉴스 콘텐츠 투자에 관심 가져야 하는 이유
비뉴스(Non-News)라는 단어를 요즘 더 자주 접하실 겁니다. 더코어에서도 자주 다뤘던 주제이기도 하죠. 주로 버티컬 미디어라는 이름으로 소개를 해왔던 기억입니다. 비뉴스(Non-News)라 하면 기자들은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곤 합니다. '기자는 뉴스를 생산하는자'라고 정의되기 때문이죠. 기자의 본업과는 관련 없는 업무로 이해하게 되면서,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물론 모든
NMA 입장 번역: 뉴스 학습데이터가 보상받아야 할 법리적 근거들
생성 AI 모델의 학습 데이터 저작권을 둘러싼 논란으로 전세계가 뜨겁습니다. 특히 언론사들은 자신들의 뉴스 콘텐츠가 허락없이 학습 데이터로 활용된 데 대해 불쾌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지금은 불쾌감을 넘어 소송으로 번지는 형국입니다. 아시다시피 이 이슈는 미국에서 먼저 불거졌습니다. 거대언어모델을 빠르게 개발하고 학습시켜 상업화한 기술 기업들이 대부분 미국 내에 존재해서입니다. 오픈AI나 구글이 대표적입니다.
생성AI 뉴스 저작권, 미국 뉴스미디어연합의 논리와 접근법
국내에서도 전쟁이 시작됐습니다. 국내 빅테크와 언론사 간의 사활을 건 전투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민감하고 복잡하며 까다로운 사안이기도 합니다. 국내 거대언어모델의 학습 데이터에 뉴스를 활용한 것을 두고 벌어지는 갈등과 논쟁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갈등 구도는 하이퍼클로바(X)를 둘러싸고 네이버와 언론 관련 협회로 형성이 됐습니다. 한국신문협회와 온라인신문협회가 공동보조를 취하며 움직이고
'디지털 저널리즘', 2023년 6호 15개 논문의 제목과 요약
2013년 창간된 저널 '디지털 저널리즘'(Digital Journalism)은 충분히 주목할 만한 학술지입니다. 저 또한 더코어 미디어섹션을 통해서 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소개하거나 번역을 한 적이 있습니다. 현실과 밀착돼 있는 연구 논문도 상당하고, 현재 언론인들이 겪고 있는 고민의 일단을 주제로 다룬 논문도 자주 소개됩니다. 사실 현장 기자들은 학술지의 논문에 그리 관심을
언론사 활용에 특화된 '생성 AI 서비스' 3종
매일매일 생성 AI 관련 뉴스들이 쏟아집니다. 용도는 이제 가릴 것도 없이 확장되고 있습니다.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ChatGPT나 곧 발표될 클로바X가 존재하지만 언론사 작업 흐름에 적용할 수 있는 특화한 프로덕트에 관심이 더 가기 마련입니다. 통상 언론사들은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생성 AI를 사용하거나 도입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언론사의 생산 과정에
뉴욕타임스 '뉴스 구독' 위기와 탈뉴스화
뉴스가 위기에 빠졌습니다. 누가봐도 심각해 보입니다. 구독자수를 새로운 집계 방식으로 재정리하면서 뉴스 구독의 속살이 고스란히 드러났습니다. 언제나처럼 뉴욕타임스의 CEO는 늘어난 구독자수를 강조했습니다. 이번 2분기 콘퍼런스콜에서도 구독자수가 늘어난 수치를 자랑스럽게 언급했습니다. 18만 명의 디지털 신규 유료 구독자가 늘어난 것은 틀리지 않았습니다. 구독 매출액도 지난해 동기(3억8361만 달러) 대비 2600만 달러가 늘어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