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D 심장 대학연구소의 비명…"전기 없어서 AI 연구 못해"

💡
“GPU도 샀고 연구 아이디어도 넘쳐나는데, 정작 전기가 없어서 아무것도 못 합니다.”
요즘 AI 연구 최전선에 있는 대학들에서 들려오는 이야기라고 합니다.
서울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들이 AI, 반도체, 로봇 등 전력 집약적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 하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최신 GPU를 들여와도 정작 전기가 없어 서버를 못 돌리는 전기난민과 같은 현실이 도래한 것입니다. 대학이 R&D의 핵심 축이자 AI 생태계의 뿌리인 만큼, 이는 단순한 불편을 넘은 국가적 위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왜 중요하냐면

대학연구소는 국가 산업 경쟁력의 핵심 축입니다. AI, 바이오, 휴머노이드 로봇 같은 미래 핵심 기술은 보통 ‘대학 → 스타트업 → 대기업’으로 이어지는 생태계를 통해 산업화되기 때문입니다.

MIT의 마빈 민스키, 토론토대의 제프리 힌턴, 오픈AI의 일리야 수츠케버 모두 이와 같은 길을 거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