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날 때부터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를 경험해온 세대는 다른 세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의 검색 습관은 그 이전 세대와 다릅니다. 구글 및 네이버가 직면한 도전입니다. 22년 7월 13일 테크크런치(TechCrunch) 보도에 따르면, 구글 내부 데이터는 Gen Z 이용자의 약 40%가 구글 검색보다 인스타그램과 틱톡의 검색을 선호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구글 수석부사장 라그바(Prabhakar Raghava)의 표현을 직접 살펴보시죠.

"우리 연구에 따르면 약 40%의 젊은 이용자는 점심식사 관련 검색을 할 때 구글 지도나 구글 검색을 이용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틱톡이나 인스타그램을 이용합니다(In our studies, something like almost 40% of young people, when they’re looking for a place for lunch, they don’t go to Google Maps or Search, he continued. They go to TikTok or Instagram)."

이 글은 고정된 것이라고 여기지고 있는 인터넷 검색의 패러다임이 변화를 겪고 있는 이유를 분석한 글입니다. 검색 패러다임의 변화는 새로운 세대가 자신의 삶의 경험 속에서 새로운 '기대'를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기대일까요? 나아가 이 글은 모든 인터넷 서비스가 그 기획과 발전전략에서 있어 고려해야할 젊은 세대의 특징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세 줄 요약

  • 구글 내부 자료에 따르면 Gen Z의 40%가 구글 검색보다 인스타그램과 틱톡의 검색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젊은 세대는 다른 검색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서비스에 대한 다른 기대를 젊은 세대가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만 27세 또는 이보다 젊을 경우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그리고 인스타그램 없는 세계를 알지 못합니다. 소셜 미디어는 이들에게 언제나 존재하는 것입니다. 소셜 미디어의 핵심은 이용자의 사회적 신분(social status)을 축적하는 도구입니다. 젊은 이용자는 검색에서도 사회적 신분을 축적하길 원합니다.
  • 새로운 서비스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신분을 빠르게 그리고 매력적으로 축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야 합니다. 구글 검색과 구글 지도에서는 사회적 신분을 쌓을 방법이 전혀 없습니다. 27세 미만 젊은 이용자 입장에서는 구글 검색과 구글 지도를 적극 이용해야할 이유가 매우 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