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 주] 이 글은 모 연구기관 자문용으로 작성된 글의 일부입니다.  

이 문제에 답을 찾기 위해서는 저널리즘에 대한 정의가 전제 돼야한다. 저널리즘을 사실 보도 중심의 정보 전달 기능으로 한정하는 경우와 1830년대 ‘웨스터민스터’의 정의대로 “의견과 사실을 교환하는 것”으로 인식할 때, 답은 달라지기 마련이다.

만일 저널리즘을 전자 중심으로 정의한다면 기술은 저널리즘의 구현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비욘드뉴스’의 저자인 미첼 스티븐슨 교수는 뉴스와 저널리즘을 분리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다.

“뉴스 속 등장인물이 한 말을 단순히 받아 적거나, 아무리 믿을 만하더라도 쉽게 얻을 수 있는 사실을 단순히 기록하는 것은 지혜의 저널리즘이 아니다. 17세기 유럽에서 유통된 뉴스시트들에선 지혜의 저널리즘이 없었다.”(비욘드뉴스, 14쪽)

공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단순 사실을 열거하거나 혹은 그 사실 속에서 특별한 이슈를 발견하는 기초적인 작업은 기계에 의해 수행될 만한 것들이다. 이미 알고리즘 저널리즘을 통해서 데이터 안의 특이점을 발견하고 이를 기사화하려는 시도들은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