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개할 논문은 2020년 니키 어셔 교수가 쓴 '저널리즘 객체에 대한 검토  : 감정, 문화, '뜻밖의 객체'를 통한 저널리즘 연구의 물질성에 대한 재고'인데요. 슬쩍 읽어봤는데 이 접근법 은근 흥미롭네요. 객체 지향의 개념이 저널리즘 분야에 서서히 붙어온 적잖은 사례들도 있었고요.

논문 초록의 번역

"저널리즘 스터디에서 물질성에 대한 연구를 다시 활성화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연구는 종종 저널리즘 디지털 객체의 어포던스(affordances, 행위유발성)에 초점을 맞춘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NT)의 좁은 적용 범위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저널리즘 연구는 객체 지향 연구의 정서적, 문화적, 그리고 미적 잠재력을 고려할 생산적인 기회를 놓치고 있습니다. 이 논문은 저널리즘의 객체가 어떻게 느끼게 되고, 경험되고, 다른 문화적 상황에 처하게 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문화적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는 저널리즘의 정동적, 정서적 차원들을 보다 광범위하게 고려하기 위해 물질주의를 재고하는 것을 지지합니다.  또한, Schudson(2015)의 '하드'와 '소프트' 객체에 대한 이론을 개발합니다. 또한, 우리는 저널리즘의 세 번째 범주인 '뜻밖의 객체'를 포함하도록 Schudson(2015)의 '하드'와 '소프트' 객체에 대한 이론을 개발합니다. 뉴스룸 벽의 예술, 뉴스 미디어 상품, 그리고 매일의 에페메라 같은 이러한 물건들은 종종 뉴스 제작 과정과 직접적으로 거의 관련이 없지만, 저널리즘에서 중요한 정서적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