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포털이 2022년의 화두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연합뉴스 지위 강등 사태(12월24일 효력정지)와 카카오의 다음앱 모바일 뉴스서비스 개편 공표는 국내 언론사의 탈포털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됐습니다. 언론노조 국민일보지부가 탈포털에 대한 대응 전략을 사측에 요구할 만큼 언론사 내 인식의 저변도 넓어졌습니다.
현재 논의되는 탈포털은 '포털이 뉴스 서비스를 대폭 축소하거나 폐지한다'는 전망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2001년 이래 지속돼왔던 포털 플랫폼의 뉴스 프로덕트가 대외적인 요인으로 기존의 꼴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인식이기도 합니다. 이미 카카오는 카카오톡뿐 아니라 다음앱 내 뉴스 서비스를 카카오뷰로 전환한다고 예고한 바 있습니다. 이에 뒤질세라 네이버는 알고리즘 배열기반의 뉴스 서비스 홈을 폐지하며 큰 변화의 서곡을 연주하기 시작했습니다.
무엇보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2016년 설치한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의 위상 자체가 흔들리는 모습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정치권의 비판과 압력뿐 아니라 12월24일 행정법원의 판결도 이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특히 법원은 연합뉴스 측의 가처분신청을 인용하면서 다음과 같이 적시했습니다.
“제평위가 전현직 언론인, 시민단체 임직원, 변호사 등으로 구성됐다고는 하나 기본적으로 네이버‧카카오의 의뢰로 선임‧구성되고 이들 회사의 비용으로 운영되며 평가위원의 선임 기준‧절차 등에 객관성‧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한 명문의 규정이나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다”
비록 가처분신청에 대한 판결이긴 하나 양대 포털의 합의로 구성된 제평위의 위상에 치명적인 메시지를 날린 것입니다. 존재 자체의 독립성과 공정성에 법원이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제평위 구성 및 운영 방식의 큰 개편을 압박했습니다. 서서히 제평위 구조와 거리두기를 해왔던 카카오 입장에선 이번 기회를 명분 삼아 제평위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2022년 카카오뷰로 전면 개편할 경우 제평위에 남아있을 유익도 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