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자의 저주: 애플·아마존의 AI 시대 실패 피하기?

안녕하세요. 더코어 김경달입니다. The Core 뉴스레터의 주요 글은 더코어 사이트의 'Briefing' 섹션에도 있습니다. 뉴스레터는 간단하게 구성하고 버튼을 추가했으니, 관심 있는 글은 버튼을 눌러서 좀 더 자세한 내용이 담긴 본문을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스마트폰부터 AI까지, 패러다임의 변화와 승자의 저주

💡 'AI 시대'의 판도가 어느 정도 정립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직전 시대인 '스마트폰 시대'의 주역들은 앞으로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스마트폰 시대를 이끈 애플(하드웨어)과 아마존의 AWS(클라우드)는 AI 시대에도 각자의 강점을 살린 전략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애플은 온디바이스 AI와 개인정보 보호를, 아마존은 클라우드 기반 저비용 추론을 강조하며 기존 성공 공식을 그대로 확장합니다.

그러나 과거 노키아와 마이크로소프트가 패러다임 전환에 실패했던 전례를 고려하면,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구글과 같은 유연성이 새로운 승자를 가를 핵심이 될 수 있습니다.


빅테크 AI 투자 성과 가시화, 2025년 15% 수익 성장

💡 빅테크 기업들의 인공지능(AI) 투자 열풍이 실제 수익으로 이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메타와 마이크로소프트(MS)가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나스닥 선물이 1.4%, S&P 500 선물이 1%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AI 기반 광고 최적화와 클라우드 서비스 급성장이 수익 개선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X보다 반말이 편해서? 스레드 이용시간 8.3배 급증

💡 한동안 조용했던 텍스트 기반 SNS 스레드(Threads)가 국내에서 다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지난 4월 기준 국내 총 이용 시간은 6억 7,300만 분으로 전년 대비 8.3배 늘었습니다. 이용자 수도 123% 증가한 609만 명에 달했는데요. 같은 기간 이용자 수 738만 명을 기록한 X(옛 트위터)와 거의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입니다.

기능 개선과 함께, 연령 불문 ‘반말’로 대화하는 독특한 문화가 활성화의 이유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유튜브 AI로 18세 미만 자동 감지...광고·콘텐츠 제한

유튜브가 머신러닝 기반 연령 추정 기술을 활용해 18세 미만 사용자를 식별하고, 이들에게 맞춤형 보호 조치를 자동 적용하는 시스템을 미국에서 시작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영국이 성인 콘텐츠에 대한 온라인 연령 인증을 의무화한 가운데, 플랫폼 차원에서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청소년 안전을 강화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가안보 vs 기업자율성, 트럼프의 인텔 CEO 사임 요구 파장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립부 탄(Lip-Bu Tan) 인텔 최고경영자(CEO)에게 "즉각 사임하라"고 공개 요구한 가운데, 탄 CEO가 중국 관련 의혹을 정면 반박하며 맞불을 놓았습니다. 미국 반도체 산업의 핵심 기업을 둘러싼 이례적인 대통령-CEO 간 공개 갈등은 CHIPS Act 80억 달러 지원 사업과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한 기업 경영 개입 논란을 동시에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AI 검색 시대에 브랜드가 사라지지 않게 하세요.

블루닷 인테리전스가 ChatGPT 같은 AI 검색에서 당신의 브랜드를 최상위로 끌어올립니다.

블루닷 인텔리전스

선형 TV vs 스트리밍, 대체 아닌 공존의 새 균형점 모색

💡 "스트리밍이 미래"라는 업계 정설에 균열이 생기고 있습니다. 미국 케이블 업체 차터 커뮤니케이션즈(Charter Communications)의 TV 가입자 감소폭이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영국ITV는 스트리밍 우선 전략을 포기하며 선형 TV의 마케팅 가치를 재인정하는 모습입니다.


[브리핑]

1. 컨설팅 공룡 맥킨지, 인력 5천명 감축...AI가 새로운 위협

세계 최대 컨설팅회펌 맥킨지(McKinsey)는 지난해 성장률이 2%에 그치고 인력도 4만5천 명에서 4만 명으로 줄어드는 등 이례적인 침체를 겪었습니다. 경기 불확실성에다 경쟁사에 시장점유율 빼앗긴 점도 있지만, 무엇보다 팔란티어와 같은 AI기업들의 공세 때문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2. 중국, 이제 한국 스타트업에 눈독?

중국의 기술 투자 파도가 이제 한국 스타트업까지 빠르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 대형 게임사가 국내 로봇 스타트업에 인수 의사를 타진했다는 소식이 들려온 것인데요. 그들이 노린 핵심은 바로 ‘햅틱(촉각) 기술’이었다고 합니다.

3. GPT-5의 수능 점수는?

오픈AI가 지난 8일 공개한 GPT-5에게 2025학년도 수능의 국어, 수학, 영어 영역을 풀게끔 해보니, 원점수 기준으로 각 95점, 82점, 92점을 기록했다네요. 실제 수능 커트라인과 비교하면 국어와 영어는 1등급, 수학은 2등급이었습니다.

4. 엔비디아와 AMD, 중국 AI 칩 판매액의 15%를 미국 정부에 지불하기로 합의

엔비디아와 AMD가 중국에 판매하는 AI 칩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지불하는 파격적인 협약이 체결되었습니다. 한편, 중국 측은 엔비디아의 H20 칩이 안전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중국이 이 칩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어, 미중 기술 갈등의 또 다른 측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5. OpenAI, 사용자 불만 속 ChatGPT에 GPT-4o 모델 복원

OpenAI가 ChatGPT에 GPT-4o 모델을 복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GPT-5 출시 이후 사용자들이 강제로 새 모델로 전환되면서 분노를 표출한 데 따른 조치입니다.

6. AOL, 34년 만에 다이얼업 인터넷 서비스 종료

AOL이 34년의 역사를 가진 다이얼업 인터넷 서비스를 마침내 종료한다고 NBC News가 보도했습니다. 한때 인터넷 접속의 대명사였던 AOL 다이얼업은 이제 역사의 한 페이지로 남게 되었습니다.

7. OECD의 AI 역량 지표 개발과 현재 AI 발전 수준 평가

OECD가 AI 발전 속도를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 인간 능력을 세분화한 9가지 AI 역량 지표를 개발했습니다. 이 지표는 5단계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책 입안자들에게 AI 역량을 인간 능력과 비교할 수 있는 증거 기반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놓치지 마세요 - The Core 최신글]

세 번째 브라우저 전쟁 — AI 브라우저와 ‘바이브 브라우징’이 여는 슈퍼앱 시대

2025년 AI 검색 트래픽 527% 급증 [AIEO]


"Business Intelligence for the AI Age"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더코어 스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