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마켓 채용공고를 보면 "광고 세일즈/운영 담당자"를 뽑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당근마켓은 당근마켓 지역광고라는 광고 인벤토리를 (제한적으로) 운영해 왔습니다. 채용공고를 보면 이를 확장하겠다는 뜻이 드러납니다.
리테일 미디어(Retail Media)는 리테일 또는 이커머스 웹사이트와 앱에 광고를 게재하는 것을 말합니다. 리테일 미디어는 진입 장벽이 낮고 이윤율이 매우 높은 비즈니스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아마존이 리테일 미디어 사업을 시작한 해는 2012년입니다. 이후 아마존은 막대한 이윤을 광고 비즈니스를 통해 얻고 있습니다. 아마존의 뒤를 따라 미국 뿐 아니라 전 세계 이커머스 기업이 앞다투어 리테일 미디어 사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이 경향은 전통 리데일 또는 이커머스에 제한되지 않습니다. 우버 또한 광고 사업에 뛰어들었습니다. 배달의 민족처럼 북미와 유럽의 배달 서비스도 광고 비지니스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열풍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이 글에서는 리테일 미디어 시장의 진화와 한계를 분석해 보고자 합니다.
당근마켓, 광고 세일즈 및 운영 담당자를 뽑다
당근마켓 광고팀 소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근마켓은 월 1,000만 개 이상의 게시글이 등록되고 월 평균 24회 하루 평균 20분 동안 사용하는 서비스에요. '광고 팀'은 당근마켓의 트래픽을 기반으로 광고 상품을 제공하고 있어요. 현재 홈 피드에 노출하는 네이티브 피드 광고 상품과 검색결과 지면에 노출하는 검색 광고 상품을 운영하고 있고, 앞으로 더욱 다양한 지면과 광고 형식으로 노출되는 광고 상품을 준비하고 있어요. 그리고 광고주 고객군을 기존의 소상공인 뿐만 아니라 대형 광고주와 광고대행사까지 확장하기 위한 광고 시스템 개편 계획을 갖고 있어요. 이를 위하여 광고대행사와 대형 광고주를 영업하기 위한 업무 전반을 담당하며, 복잡도가 높아지는 운영 영역까지 책임져 줄 인재를 모시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