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기자가 알고리즘을 체계적으로 비판할 수 있는 방법
알고리즘 비판을 염두에 두고 있는 기자들에게 저는 이 논문이 그 힌트를 제공할 뿐 아니라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
알고리즘 비판을 염두에 두고 있는 기자들에게 저는 이 논문이 그 힌트를 제공할 뿐 아니라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
개인적인 호기심에 간단하게 시작했던 설문조사 '고품질 저널리즘을 위해 AI/머신러닝 기술이 뉴스 관련 어느 영역에 가장 빨리 적용되길 기대하시나요'의 결과가 이렇게 나왔습니다. 자동 팩트체킹이 언론사 내 여러 직군들로부터 고르게 필요로 하는 항목으로 파악된 점은 약간 의외이긴 했습니다. 아마도 현장에서 팩트체킹 과정의 수고로움을 덜기 위해, 혹은 편의를 얻기 위해 기계의 도움을
Lewis, S. C. (2020). The Objects and Objectives of Journalism Research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and Beyond. Digital Journalism, 1-9. 지난 6월16일 '디지털 저널리즘'에 퍼블리싱된 오레곤대 세스 루이스 교수의 논문. '팬데믹과 그 너머 시대, 저널리즘 연구의 대상과 목표'라는 제목이 암시하듯, 저널리즘 연구의 성찰과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담고 있었습니다. 모두 읽지는
Computer Assisted Reporting. 일반적으로 CAR로 불리는 보도 방식의 역사는 1950년대로 거슬러간다. 아직 개인용 컴퓨터는 세상에 등장하지 않았던 시절이다. 대부분의 컴퓨터는 미국의 군사 목적으로 개발돼 특수 목적용으로만 활용되던 시기였다. 컴퓨터 자체도 귀했지만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는 이 또한 희소하던 때였다. 1952년은 저널리즘과 컴퓨터가 사실상 처음으로 조우한 시점이다. 그해 미국은 대통령 선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