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클릭' AI 검색이 뉴스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

AI 검색에 대한 논의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국내 ChatGPT 사용자가 1700만 명을 넘었다는 통계까지 나오면서 AI 검색은 미래가 아닌 당면한 현실의 정보 유통 조건이 됐습니다. 하지만 아직 AI 검색이 미칠 영향을 체감하지 못하는 언론사 종사자들이 많습니다. 이 자료를 등록하는 2025년 5월이 대선 국면이어서일 겁니다. 그리고 네이버가 아직 전면적으로 움직이지 않아서입니다.

[자료] ‘제로 클릭’ AI 검색이 뉴스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
AI 검색이 국내 언론사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영미권에선 트래픽이 하락하는 언론사들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구글이 검색에 AI 검색인 AI Overviews 통합을 본격화한 뒤 벌어진 풍경입니다. 영국의 메일 온라인은 검색에서 AI Overviews가 등장할 때 평균 클릭률이 56.1% 떨어진다고 합니다. 데스크톱 기준입니다. 모바일에선 이보다 덜한 상황이지만, 그 여파가 만만하지 않습니다.

체감은 못하시겠지만, 세계적으로 신뢰 높은 웹 분석 사이트(statcounter)에서, 네이버의 한국 검색시장 점유율은 48.45%입니다. 구글이 43.09%입니다. 인터넷트렌드와는 다소 차이가 나긴 합니다만, 네이버의 검색 점유율은 50%에 미치지 못합니다. 이를 감안할 때 구글이 AI 검색으로 전환하면 국내 언론사들의 트래픽은 상당폭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구글 디스커버가 일부 보완할 것으로 보입니다만, AI 검색발 '제로 클릭'의 영향권 안에 있습니다.

오늘 공유하는 자료는 AI 검색이 국내 언론사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물론 저의 개인적인 견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나름 여러 자료와 내부 통계(블루닷 인텔리전스) 등을 바탕으로 도출한 분석과 결론입니다. 그리고 이 자료는 제가 한국언론학회 2025년 봄철학술대회 발표용으로 준비한 것이기도 합니다.

[자료] ‘제로 클릭’ AI 검색이 뉴스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
AI 검색이 국내 언론사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목차는 다음과 같이 구성돼 있습니다.

  • 검색 질서의 지각 변동
  • Machine Audience와 제로 클릭
  • RAG 기반 AI 검색의 작동방식
  • AI 검색이 뉴스 가시성을 결정하는 방식
  • 언론사에 미치는 영향 : ‘기사 품질’과 ‘비즈니스 모델’ 변화를 중심으로
  • AI 검색 시대 언론사 생존의 대안

핵심은 아래 장표 하나에 모두 담겨 있습니다.

AI 검색 시대에 대응 방안을 모색하려는 언론계 고위 의사결정자 분들이 있다면 꼭 읽어보시길 제안드립니다. 물론 피드백은 언제든 환영합니다.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더코어 스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