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노비치의 소프트웨어 연구와 볼터&그루신의 뉴미디어 계보학을 비교하는 작업은 여러 함의를 제공한다. 두 연구자들은 ‘다이나모북’에서 비롯된 앨런 케이의 이론과 구상을 대상 삼아 매클루언의 부족분을 채우거나 확장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만들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디지털 미디어의 진화 양상을 설명하기 위해 유사한 개념과 프레임워크를 창안했다는 점은 이론적으로 충분히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더코어 스토어
마노비치의 소프트웨어 연구와 볼터&그루신의 뉴미디어 계보학을 비교하는 작업은 여러 함의를 제공한다. 두 연구자들은 ‘다이나모북’에서 비롯된 앨런 케이의 이론과 구상을 대상 삼아 매클루언의 부족분을 채우거나 확장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만들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디지털 미디어의 진화 양상을 설명하기 위해 유사한 개념과 프레임워크를 창안했다는 점은 이론적으로 충분히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