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으로 성장하는 아마존 셀러 애그리게이터
아마존 셀러 생태계가 급변하기 시작했습니다. 아마존 서드파티 셀러의 애그리게이터(aggregator) 비즈니스가 최근 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2020년 4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아마존 셀러 애그리게이터에 대한 투자금 규모가 75억 달러에 이릅니다. 투자금은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2021년 1월부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들 애그리게이터 중에서 벌써 10개 이상의 유니콘 기업이 등장했습니다.
반려동물 급상승 원인: 스마트폰?!
자연산 연어 및 채식주의 사료, 체형교정 매트리스, 반려동물 침술사료시장, 동물병원, 미용 등 반려동물 관련시장의 성장, 진화, 다각화 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채식주의(vegan) 반려동물을 위한 전문 사료 기업도 등장했고 친환경 및 천연 재료로 만들어진 사료 전문 기업도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자연산 연어로 만든 반려견 사료가 대표입니다. 반려동물 고급 건강식 사료도 인기입니다.
아마존이 백화점을 오픈한다
WSJ 보도에 따르면 아마존이 오프라인 백화점을 곧 오픈합니다. 이 소식을 전해드리기 전에 주요 마켓플레이스의 21년 2/4분기 실적을 정리했습니다. 2021년 2/4분기 세계 이커머스 기업 실적 비교: 돋보이는 쿠팡 성장 속도먼저 매출 규모로 보면 아마존이 (역시) 압도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이커머스 분야는 총 1,131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습니다(AWS, 광고
퍼포먼스 마케팅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법: Embedded Content + Underpriced Attention
퍼포먼스 마케팅 수요는 증가하나 공급은 그대로이커머스 기업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그 수는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입니다. 이커머스 대다수 기업은 신규 고객획득과 구매 전환을 위해 퍼포먼스 마케팅을 진행합니다. 문제는 이러한 수요는 증가하는데 퍼포먼스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는 플랫폼의 수와 공간은 크게 증가하지 않습니다. 그 결과 두 가지 현상이 발생합니다. 첫
퍼포먼스 마케팅의 한계를 보여준 위시(Wish)
21년 5월 18일 Exciting f(x)는 위시와 알리익스프레스를 비교 분석하는 글을 발행했습니다. 위시의 21년 1/4분기 실적 자료를 바탕으로 위시의 적극 이용자(Annual Active Consumers)가 20년 하반기 6,400만명에서 21년 1/4분기 6,100명으로 줄어든 사실을 지적했습니다(-3%). 위시(Wish)의 고객획득 중심 전략은 지금까지 애드테크(Adtech) 기술에
capex로 확인하는 배터리 전기차로의 대전환
21년 7월 18일 브리핑 #26에서 내연기관 자동차 시장의 붕괴에 대해 의견을 드렸습니다. 오늘은 21년 8월 5일 미국 바이든 정부는 2030년까지 신차 판매 중 전기차 비중을 40%까지 끌어 올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40% 목표치는 어려워 보이지 않습니다. 이미 완성차 기업은 유사한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계획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위한 구체적인
D2C(Direct To Consumer) 플레이북
2020년 그리고 2021년 유행하고 있는 질문 중 하나는 "어떻게 지금의 브랜드 또는 비즈니스 모델을 D2C 모델로 전환시킬 수 있을까"입니다. D2C는 말그대로 생산자가 최종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팔고 생산자와 최종 소비자 사이에 직접 대화가 진행되는 것을 말합니다. 아래는 지금까지 성공한 D2C 브랜드를 재구성(deconstructing)하여 D2C 모델 전환의 플레이북 내용입니다-짧게
D2C 브랜드 나이키(Nike)에서 배울 점: 제 3차 리테일 혁명
The Economist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리테일 시장의 변화를 제3차 리테일 혁명이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나이키는 제3차 리테일 혁명에서 살아남은 아니 더욱 번창하는 대표적인 전통 기업입니다. 2017년부터 나이키는 도매점과의 관계를 빠른 속도로 끊어내고 있었습니다. 2020년 나이키의 총 매출 중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를 통한 매출 비중은 33.1%입니다. 이 33.1%는
검색창이 없는 쇼핑앱이 성공한 이유, 핀둬둬 성장 가능성
알리바바와 JD.com이 지배했던 중국 이커머스 시장에 2015년 해성처럼 등장한 핀둬둬(Pinduoduo)는 마침내 2020년 알리바바와 어깨를 견주는 수준으로 성장했습니다. 연간 적극 구매자(annual active buyers) 기준으로 볼 때, 핀둬둬-7억 8,840만 명-는 2020년 알라비바-7억 7,900만 명-를 넘어섰습니다. 이러한 놀라운 실적에도 불구하고 한 때 200달러를 넘어섰던 핀둬둬의 주가는 중국
[강정수의 디지털 경제 브리핑 #29] QR 코드 메뉴 확산과 일자리 위협
위기는 긍정적 의미에서든 부정적 의미에서든 기술 수용성을 크게 변화시킵니다. 그에 따른 경제와 사회 변화는 우리의 상상력을 뛰어넘을 경우가 있습니다. 이탈리아에서는 2020년 코로나 팬데믹 기간동안 이커머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했습니다. The Economist의 보도에 따르면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이커머스 습관의 확산은 10년이 필요한 변화였지만, 이 변화가 단 3개월만에 이뤄졌습니다. New technological behaviours will outlast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