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주가와 주식 시장의 상호작용
미국 빅테크들의 주가가 다시 오르고 있습니다. 오락가락하는 주가 때문에 마음고생하는 투자자들이 많은데요. 분명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메타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애플 등 거의 모든 빅테크 주가가 곤두박질쳤습니다. 이 때문에 2023년 전망에 관해선 비관론이 가득했지만, 막상 2023년초 빅테크 주가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빅테크 주가의 상승세를 경제 회복의 시그널로 볼 수 있을까요? 빅테크
[Jan. W4] 뉴스 모음 - 'A.I. 전쟁'
[MS] ChatGPT 품는 MS, 클라우드·검색 시장 지각변동 예고오픈AI의 ChatGPT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제품에 적용됩니다. MS는 ChatGPT 등 AI 기술을 통해 클라우드 및 검색 서비스를 발전시킬 계획입니다. MS는 ChatGPT 외에도 다양한 AI 기술을 자사 제품에 적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사티아 나델라 MS CEO는 다보스에서 개최된 행사에서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AI의 기술을 상품화할 것’
플레이스테이션 vs. 엑스박스: 콘솔 경쟁의 양상
2022년 1월 18일, 마이크로소프트가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인수하겠다고 발표했었죠. 인수 규모는 약 690억 달러로, 이는 게임업계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하지만 1년이 다 되어가는 지금까지 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합병은 허가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 EU 등 세계 각국에서 독점 문제 등을 제기하며 인수합병이 적법한 지 면밀히 검토 중이기 때문입니다. 경쟁사의 견제
[Jan. W3 ] 뉴스 모음 - 2023 전망
[2023년 전망 모음] (link)- Visual Capitalist에서 전문가들 전망을 모아 정리 1. 러-우크라 전쟁은 23년에 끝나지 않을 것 2. 금리는 계속 오를 것 + 23년에 피크 찍을 것 3. 중국, 코로나 봉쇄 점차 풀고 경제도 회복세 나타날 것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전망을 간추리고 있다. (자료 다운로드 링크 page) AI는 모든 곳에서
[Jan. W2] 브리핑 - Tech Trend(Bloomberg)
2022년, 삶의 질을 높여준 ‘테크’ 트렌드는?블룸버그에서 ‘2022년, 삶의 질을 높여준 5가지 기술 트렌드’를 발표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페어링 (The new pairing) 지난 10월 구글은 가까운 이어폰과 스마트워치 등의 액세서리를 픽셀폰과 즉시 연결시키는 ‘패스트 페어링’을 소개했습니다. 이는 애플의 시스템을 모방했단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더 많은 소비자가 더
리치세션, 파타고니아 조끼: 2023년 경제 불황의 양상
2023년이 경기 침체 혹은 불황의 해가 될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역사적으로 경제 불황의 최대 피해자는 항상 저소득층이었으며 고소득층은 비교적 피해를 덜 입어 왔죠. 하지만 올해 찾아올 불황은 이전까지의 불황과는 약간 다른 양상으로 흘러갈 것 같습니다. 이번 불황의 최대 피해자가 고소득층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주요 사례를 근거로 진단한 내용입니다만,
[Jan. W1] 뉴스 모음
‘2023년 절대 사지 말아야!’ - 테슬라 전기차·메타 VR헤드셋 등마켓워치에서 ‘2023년에 절대 사지 말아야 할 5가지’를 발표했습니다. 바로 △테슬라 전기차 △메타 VR 헤드셋 △가상화폐 △SPAC △밈 주식 인데요. 2023년의 시장 변동과 고금리 상황이 고려된 결과라 합니다. 우선 테슬라 전기차는 더 이상 타사의 전기차에 대비, 비교우위를 갖기 어려울 것이란 예측입니다.
빅테크, '영웅적 단계'의 종말?
빅테크는 지난해 주식 시장에서 가장 큰 하락세를 보인 카테고리 중 하나였습니다. 아래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등 다수의 빅테크 주가가 곤두박질쳤습니다. 2021년의 주가 변동과 비교하면 지난해 빅테크 주가 하락이 얼마나 심각했는지 더 극명하게 보이는데요. 빨간 막대는 2022년의 변동을, 초록 막대는 2021년의 변동을 나타냅니다.주가는 기업의 쇠퇴/
2023년 주목할 만한 트렌드 4가지
20년전, 즉 2003년은 대기업들의 파산이 줄을 이뤘던 해입니다. 엔론(Enron), 월드컴(Worldcom), 콘세코(Conseco)가 대표적입니다. 엔론과 월드컴은 회계 부정으로 인해 파산했습니다. 콘세코는 회계 부정은 물론 무리한 인수합병 등 부적절한 경영 활동으로 인해 파산했습니다. 모든 사람이 위의 세 기업에 대해 ‘가망이 없다’고 생각했지만, 헤지펀드 매니저 데이비드 테퍼(David Tepper)
[GenZ & 소셜 ②] 요즘은 인스타보다 BeReal과 Gas가 대세?
💡Key Point ①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이 주춤하는 사이 새로운 SNS 앱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② 대표적으로 Be Real과 Gas가 있습니다. 기존 SNS 앱들에 만연하던 허세와 비교라는 약점을 공략한 것입니다. ③ 새로운 SNS들도 약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바로 구시대적인 마케팅과 빈약한 수익 모델입니다.intro5년 전 메타(당시 페이스북)는 서비스를 시작한 지 2달밖에 안 된 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