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잡지의 부활, 여전히 효과적 마케팅 도구!
인쇄 잡지의 재부흥, 여전히 효과적인 마케팅 도구다!💡디지털 미디어가 주도하는 시대에도 불구하고 인쇄 잡지의 부활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블룸버그의 보도에 따르면, 많은 미디어 매체가 올해 인쇄 서비스를 다시 시작하거나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잡지 내지나 후면에 삽입되는 광고가 여전히 광고주들에게는 매력적인 선택지입니다.✅ 디지털 시대, 인쇄 잡지가 부흥하다? ©Sherwood2000년대 중반 이후 디지털 미디어의
구글 검색결과의 AI 콘텐츠 22% 달해, 급증세!
68개월 장기 연구 결과, AI 콘텐츠 비율 22%로 커져!구글 검색결과에서 인공지능(AI) 생성 콘텐츠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I콘텐츠 추적 서비스를 하는 오리지널리티AI가 최근 발표한 장기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구글 검색 상위 20개 결과 중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비율이 연구 초기 2.3%에서 현재 22%로
'세계 뉴스의 날' - 진실을 선택하세요!
안녕하세요. 더코어 발행인 김경달입니다. 9월 28일은 '세계 뉴스의 날(World News Day)' 입니다. '세계 뉴스의 날'은 사실에 기반한 저널리즘의 가치를 확산하기 위한 글로벌 인식 제고 캠페인인데요. 전 세계 언론사들이 진실 수호를 위한 결의를 다지는 날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세계신문협회(WAN-IFRA, World Association of Newspapers and News Publishers)가 주관하고
구글, AI 혁신 속 반독점 위기 직면
오늘은 간밤의 구글 행사 소식을 '단상'과 '기사체' 두 가지 형태로 정리해서 브리핑에 얹어봅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구글이 바쁘다. 스타트업 오픈AI가 치고 나가는데다, 애플이 'Apple Intelligence' 공개하는 등 이래저래 압박이 큰 탓이다. 간밤의 구글 행사에서도 그 바쁜 속내가 일부 읽힌다. (개인적으론 뭔가 어수선했다. 픽셀, 제미나이, 제미나이 라이브, 제미나이 나노... 그들은 정렬됐겠지만 아직
[브리핑] 북한의 핵무기, 30~116개 사이?
"북한의 핵무기가 30개?" 스캇 갤러웨이 교수 뉴스레터를 받아보고 있는데요. 매주 자신의 블로그사이트 'No Mercy/No Malice'에 올린 글을 메일로 보내줍니다. 무료입니다. 이번주엔 '사전경고(Forewarned)'란 제목으로 '불안과 예측'에 대해 쓴 글을 보내왔네요. 그런데, 글 속의 그래픽 2개가 눈길을 확 잡아끕니다. 1. 먼저, 핵무기 관련 그래픽입니다. 미국과 러시아는 5,000개가 넘는다고
'AI'끼리 '의대 정원' 이슈 찬반토론 시켜보니...
AI에게 찬성과 반대입장을 부여하고 서로 토론을 시킨 사례가 있습니다. 무척 흥미로운 장면입니다! 아래 유튜브 영상에 내용이 담겨 있는데요. AI에게 '의대 정원 증가' 이슈를 놓고 한쪽 AI는 정부측의 찬성입장을, 다른 AI는 의료계의 반대입장을 대변하는 식으로 학습을 시키고 상호 토론을 하도록 설정이 돼 있습니다. (TTS 기술 통해 목소리도 입혔네요) 유튜브 '테디노트' 채널의
Open AI의 CTO가 말하는 'SORA'의 혁신
OpenAI의 CTO, 미라 무라티(Mira Murati)가 영상을 만들어주는 생성 AI 'SORA(소라)'에 대해 WSJ와 13일 인터뷰를 했습니다. 무라티는 Open AI가 샘 알트만 CEO를 해임했을 때 이틀간 임시 CEO를 맡기도 했었죠. 지금은 소라를 포함해 기술 프로젝트를 총괄 관리하는 CTO 업무를 계속 담당중입니다. 'SORA'는 'Text - To - Video' 서비스인데
[브리핑] 30분으로 보는 엔비디아의 역사
요즘 엔비디아가 장안의 화제죠. 무엇보다 알파벳과 아마존의 시가총액을 뛰어넘는 주가 상승 때문에 다들 관심이 더 높아진 것 같은데요. AI열풍과 함께 그만큼 경쟁력이 높아진 것일텐데, 구체적으로 어떤 회사이고 핵심경쟁력이 무엇인지에 대해 궁금증이 커집니다. 때마침 '세상의 모든지식' 유튜브 채널에서 3편에 걸쳐 자세하게 분석하고 정성스럽게 그래픽도 보충하며 설명한 영상이 있네요. 그리고 이걸 30분짜리로
[브리핑] 정파적 언론 생태계, 무엇이 문제인가?
최근 '불편한 언론'이란 책을 펴낸 세명대 저널리즘대학원 심석태교수의 유튜브 영상입니다. 책의 핵심내용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9분 30초 분량인데요. AI활용한 문체변경 서비스 '오웰'을 이용해 요약해 봤습니다. 언론의 윤리적 기준에 대한 심층 분석• 세명대 저널리즘대학원의 교수 심석태입니다. 최근 펴낸 '불편한 언론'이라는 책을 통해 정파적 언론 생태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합니다. 이 책에서 다루는 주요
티빙과 웨이브 합병, 2024 OTT 생존 전략
2024년 국내 OTT 시장 변화의 전망: 티빙과 웨이브의 결합KCA가 발행하는 '미디어 이슈 &트렌드'의 2024년 1+2월 통합호에 기고한 글입니다. '2024년 미디어 환경변화와 생존전략'이란 기획의 한 꼭지로 OTT 관련해서 웨이브와 티빙의 합병 이슈를 정리했습니다. 발문 올해 국내 OTT 시장 주요 이슈 중 하나는 티빙과 웨이브 합병이다. 이번 합병 논의는 양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