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 '블루메일 차단'과 애플의 보수성 + 리비안 어닝쇼크
‘블루메일 차단’, Generative AI 향한 애플의 보수성💡애플 앱스토어가 이메일 앱 블루메일(BlueMail)의 업데이트를 차단하는 소동이 벌어졌죠? 차단 사유는 블루메일이 GPT-3를 활용한 기능을 탑재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와 관련된 뉴스가 보도되고 1~2일만에 업데이트 차단이 해제되긴 했지만, 애플은 여전히 ‘면밀한 검토가 이뤄졌다’며 Generative AI를 향한 보수적인 태도를 드러냈습니다.블루메일이 탑재한
디지털 노매드, 시작 전 꼭 필요한 준비들
🐪디지털 노매드는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으로 업무를 보는 이들을 가리킵니다. 지정된 사무실에 머무르지 않고 이곳저곳 돌아다니며 근무하는 모습이 마치 노매드(Nomad, 유목민) 같단 점에서 착안된 용어입니다. 몇년새 원격·재택 근무가 양적으로도, 질적으로도 크게 발전하면서 디지털 노매드의 수도 크게 늘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에서도 꽤 많은 분들이 디지털
[브리핑] 인플루언서👉크리에이터?...메타와 트위터 속 변화
[Mar. W1] 인스타, 페북도 ‘인증 서비스' 판매...SNS와 소통양식의 변화✔️메타가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 유저를 대상으로 ‘유료 인증 서비스’를 출시합니다. 트위터가 일론 머스크에게 인수된 직후 ‘블루 체크’를 판매한 것과 비슷한데요. 셀럽, 기업 등 유명 유저들에게만 제공되던 인증 기능을 일반 유저들도 (구매하면)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인증 서비스는 메타의
[브리핑] 유튜브, 분사할 때가 왔다!
기사 원문(Link)"유튜브, 분사하면 넷플릭스 2배 값어치 될 것!"이코노미스트에서 '유튜브 분사'에 대한 이야기를 다뤘습니다. 요점을 간추렸습니다. 1. 알파벳, 유튜브 잘 챙기고 있나 - 디즈니에서 밥 아이거가 경영에 복귀한 소식과, 넷플릭스에서 헤이스팅스가 퇴진한 뉴스에 비해 2월 16일 유튜브의 수잔 보이치키가 9년 만에 CEO에서 물러난다는 소식은 언론의 관심을 거의 끌지
[정보 모음] ChatGPT ... ?
💡ChatGPT 인기가 굉장히 뜨겁습니다. The Core도 이미 수차례 ChatGPT에 대해 다뤘는데요. 그럼에도 ChatGPT는 여전히 흥미로우면서, 앞으로 더 많은 이야깃거리를 낳을 듯 합니다. 또, 여전히 어렵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ChatGPT의 기본 개념부터 활용 사례, 관련 이슈까지 총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직접 ChatGPT를 활용해 예시들을 만들어보기도 했는데요. 이 글을 통해 계속해서 쏟아져 나올 ChatGPT
XR은 새로운 일상이 될까?: 패러다임의 간격과 애플의 역할
💡XR(VR, AR, MR)이 핫하다는 이야기가 나온지는 한참 됐지만, 정작 제대로 사용해본 사람은 드물 것 같습니다. XR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더욱 적겠죠. 그럼에도 여전히 수많은 기업이 XR 산업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매직리프(Magic Leap)의 경우엔 10여년 동안 가시적인 성과를 내놓지 못했는데도 여전히 수십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브리핑] 트위터는 대체 불가?
[Feb. W3] 트위터의 대안은 아직 없다💡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이후, 트위터 위기론이 끊이지 않습니다. 이에 ‘트위터의 대안’으로 많은 SNS들이 주목받았었는데요. 하지만 그 많은 SNS 중에서 현재로서는 트위터의 대안은 없는 듯합니다. 과연 트위터는 영원히 대체 불가능한 SNS로 군림할 수 있을까요?알면 좋을 배경 일론 머스크 아래에서 트위터는 많은 변화를
Generative AI 관련 주요 논쟁들 : 저작권, 인격, 일자리 등
🦾기계학습(ML)과 인공지능(AI)는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중입니다. 특히 ChatGPT, Dall-E 2, Stable Diffusion 등 Generative AI는 창작 작업과정에서 큰 쓰임새를 보이고 있는데요. 하지만 곳곳에서 갈등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최근 발생한 Getty Images(게티이미지)-Stability AI의 소송과 넷플릭스-일본 애니메이터의 갈등을 사례로, Generative AI와 관련된 주요 논쟁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브리핑] SM 3.0 만든 행동주의&카카오, K-엔터 변화 시작?
[Feb. W2] SM을 바꾼 주주 행동주의, SM과 엔터 산업의 미래는?💡SM엔터테인먼트(SM)가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와의 계약 종료를 발표했습니다. SM의 창립자인 이수만은 30년 가까이 SM의 프로듀싱을 총괄해왔는데요. 이번 발표로 이수만은 공식적으로 SM 경영을 그만둡니다. 동시에 SM은 ‘SM 3.0’ 전략을 공개하며 ‘이수만 없는 SM’에 대한 의지를 보였습니다.알면 좋을
SWIFT와 CIPS, 미-중 갈등의 또 하나의 장면
SWIFT와 CIPS, 국제 결제 시스템과 국제 금융 시장 패권 경쟁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미국을 비롯한 서구권 국가들은 러시아에 강력한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때 가해진 제재 중 하나가 SWIFT 배제였습니다. SWIFT는 은행 간의 국제 금융 거래를 중개하는 협동조합형 회사입니다. 외국환거래의 데이터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는데요. SWIFT 시스템 ⓒCivilsdaily💡SWIFT (Society for Worldw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