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뉴스룸이 GenZ에 대해 알아야 할 것들
아래는 RJI에 6월4일 게재된 Challenge Accepted! What newsrooms need to know about Generation Z를 허락 없이 번역한 것입니다. 번역은 번역기를 이용한 뒤 윤문한 것입니다. 따라서 오역이 많을 수 있습니다. 유의사시기 바랍니다.미주리 저널리즘 스쿨의 학생들은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언론사와 협력을 합니다. 챌린지를 수락하게 되었습니다! 우리의 캡스톤 팀은
가디언의 수용자 수익모델 구성과 교훈
가디언은 뉴욕타임스와 함께 수용자 수익모델의 초기 성공 사례로 거론이 되고 있죠. 뉴욕타임스가 페이월을 쌓아올려 정보 접근권의 제한을 두는 모델에 집중한 반면, 가디언은 모든 독자들은 훌륭한 저널리즘에 차별없이 접근할 자격이 있다며 페이월을 쌓지 않았습니다. 대신 일종의 기부 모델을 중심축에 놓게 됩니다. 이를 가디언은 독자 펀딩 모델(Reader Funding Model)이라고 부르고
[요약] 디지털 디퍼런스를 읽고
양극화 성향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단어는 공통성, 공유된 이해, 그리고 공동체라는 개념을 토대로 한다. 더욱이 커뮤니케이션은 흔히 갈등에 대한 선호되는 대안으로 받아들여지며, 따라서 갈등은 커뮤니케이션 실패에서 비롯된다. 새롭게 탄생한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가 제2차 세계대전 기간과 그 이후에 민족적 편견과 유혈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선전의 나쁜 효과에 대한 우려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을 상기해
기술 권력을 감시하는 새로운 유형의 언론들
아래는 언론중재위원회 언론사람 2020년 6월호에 기고한 글입니다. 올초 더마크업(The Markup)의 등장은 신선함 자체였다. 내부 진통으로 창간이 연기되는 우여곡절을 겪긴 했지만 이들이 세상에 내놓은 첫 번째 기사를 보며 디지털 시대 저널리즘의 교과서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 무엇보다 ‘더마크업 방법‘(The Markup Method)이라 이름 붙인 취재/보도
알고리즘의 종류와 작동 원리
https://www.academia.edu/42907575/The_Nooscope_Manifested_Artificial_Intelligence_as_Instrument_of_Knowledge_Extractivism 2018년 어딘가에서 발표했던 자료인데, 기억이 잘 나질 않네요. 일단 미디어고토사에도 올려둡니다. 알고리즘의 정의 로렌스 레식 하버드 로스쿨 교수는 “코드는 사이버 공간의 법”이라고 했다. 인터넷이 코드에 의해 건축되고 코드의 통제를 받으며 코드에 의해 인터넷의 일상이
기사 잘쓰는 GPT-3, '가짜뉴스 만드는' GPT-2와 무엇이 달라졌을까
언어모델의 경쟁구도가 BERT와 GPT-3의 대결로 압축이 되는 흐름입니다. BERT의 우위로 굳어지던 분위기가 GPT-3의 등장으로 다시 역전이 됐습니다. 제가 표지 포함 72페이지나 되는 공학계 영어 논문을 모두 이해했다는 건 거짓말일 겁니다. 이해하기 위해 애썼다는 말을 넘어서면 과장일 겁니다. 제가 이해한 만큼만 썼으니 정확한 내용은 저보다 더 훌륭한 분께 재확인하시길 부탁드립니다. 이
구글 뉴스랩 라이브 트레이닝 영상 목록
코로나19로 모든 트레이닝이 화상으로 전환되면서, 유튜브와 구글 미트를 통해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아래는 주제와 목록입니다. 모으고 보니 제법 많네요. 시의성을 고려하다 보니 일부 중복된 사례가 있기도 했습니다. 혹 필요하신 분들이 있다면 참고해보시길 바라는 마음에 이렇게 정리해서 올려둡니다. [기초 및 입문] 데이터 저널리즘을 위한 시각화 툴과 매핑 툴 코로나19 및 총선 보도를
'구독전략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디지데이 가이드 요약
아래는 'Digiday Guide :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subscription strategies'의 일부를 요약한 것입니다. 이미 확인하셨다시피 위 글은 디지데이 +에 포함된 유료 콘텐츠입니다. 따라서 전문을 보여드리거나 소개하기가 어렵습니다. 세세한 내용까지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결국 유료 가입을 할 수밖에 없을 듯합니다. 그러면서 구독 모델을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 배울 수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언론사별 정부 광고 매출 변화
정부 광고 언론사별 비중 정부 광고의 규모 2019년 광고 시장 전체 규모
워터게이트 특종과 포스트게이트
포스트게이트, 이 책 읽어보신 분 계신가요? (정보 좀 공유해주시면 감사) 작년 말에 나왔더라고요. 저는 이 책의 리뷰 글을 읽다가 발간 소식을 확인하게 됐는데요. 워터게이트가 아닌 포스트게이트라 일컫게 된 건, 워싱턴포스트의 배신 때문이라는 것 같습니다. 작가인 존 오코너는 딥 스로트로 알려진 마크 펠트와 오랜 친분이 있었던 당사자. 당파 저널리즘의 탄생을 언급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