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바시의 '링크'를 읽고 나서 요약
네트워크의 진화는 가차 없는 선호적 연결의 법칙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이미 많은 링크를 받고 있는 노드들을 또다시 링크하는 것이다. (p.144) “척도 없는 네트워크 모델에 빠진 또 하나의 중요한 특성은 많은 네트워크들에서 노드와 링크가 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p.149) 노드들이 나이를 먹으면서
이기홍 양적 방법의 사회화를 읽고
서론 사회조사방법 교과목의 내용은 거의 예외 없이 양적 방법 사용으로 채워진다. 통계적 방법 구사 능력은 한국 사회학을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됐으며 그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양적 방법의 지배가 사회 세계를 탐구하는 방법으로 양적 방법 자체의 우월성에 기인한다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수량화한 자료와 통계 분석에 기초한 양적 방법으로 연구하는 것이
허버트 갠즈의 '저널리즘, 민주주의에 약인가 독인가'에서 드러난 저널리즘의 한계
3장 저널리즘의 관행과 문제점 민주주의에 관한 저널리즘 이론과 그 결함 저널리즘에서 민주주의 이론은 정치 이상이다. 그 이상은 지나치게 널리 받아들여져서 거의 토론되지 않을 정도로 당연하게 여겨진다.(p.111) 어떻게 보면 저널리즘의 민주주의 이론은 저널리스트들의 일상적인 작업적 관행이 형성되는데 기여한 중요한 출발점 중의 하나이다. 기자들이 민주주의에 기여하고 있다는 저널리즘 규범의 특권화는
테라노바의 '무불 노동'(free labor)을 읽고
논문 전문 보기 이 장에서 나는 인터넷을 번영시키고 초능동적인(hyperactive) 미디엄으로 만드는 과잉 활동을 무불 노동(free labor)이라고 명명한다. 이는 문화 경제의 전반적인 특성이며 아직 인정되지는 않고 있지만, 선진 자본주의 사회의 중요 가치의 원천이다. 사회 공장(Social Factory)이라고 부른 것 사이의 연결성을 강조할 것이다. 사회 공장은 ‘작업의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omplex networks를 읽고
들어가며 전형적인 사회연결망 연구는 중심성(개인들이 다른 개인들과 가장 많이 연결됐는지)과 연결성(개인들이 다른 개인들과 연결돼있는지)의 문제를 강조한다. 최근 네트워크 연구 경향을 보면 단일한 소규모 그래프나 특성을 대상으로 삼는 형태에서 대규모 그래프의 통계적 특성(statistical property)을 대상으로 삼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 백만 십억 수준 이런 흐름이
'전환의 키워드, 회복력' 1,2장 읽고
1장 회복력:21세기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사회-생태-경제적 변화의 추진 : 전환을 위한 교육이 책에서 우리는 화석연료에 기반을 둔 세계의 성장지향적 경제로부터 회복력 있는 경제로의 전환과 이러한 전환에 의한 재진화 과정에 대해 논할 것이다.(21)이 방향으로 가는 4가지 방법론사회 생태 경제적 변화는 우리가 지구와 그 하위체계로서의 지역을 보는 방법을 바꿀 것을 요구한다
김기란 '논문의 힘'을 읽고 논문의 목적을 생각하다
논문의 윤리성과 논문 글쓰기 전략 논문의 가치와 지식인의 역할 말하자면 학술논문의 의미는 공공성을 담보하지 못할 때 주장되기 어렵다. 학술논문은 공적으로 공유돼야 할 지적 생산물이지만 그것을 구성하는 과정은 대개 연구실 안에서 일어나는 개인적인 활동에 치우치기 때문에 논문을 작성할 때는 그 무엇보다도 논문 집필자 스스로의 반성과 성찰이 중요하다. 논문을 처음 쓰는 사람들이
협력의 가치는 이기심과 배치되는가
“분업은 인간성에 내재하는 교환성향에서 생긴다. 그가 만약 그들 자신의 이기심(self-love)이 자기에게 유리하게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면, 그래서 자기가 그들에게 해주도록 요구하는 일을 그들이 자기에게 해주는 것이 이익이 된다는 것을 설득할 수 있다면, 그들의 도움을 얻으려는 목적은 더 효과적으로 달성될 것이다.”(Smith, p. 17). Sharing Economy든 Commons Economy든 그것의
먹고 사는 문제와 민주주의
맹자는 자신의 정치 철학을 설명하면서 항심이라는 개념을 썼다. 양혜왕장구(상)편에 항산(恒産)이 없으면 항심(恒心)도 있을 수 없다고 했다. 항산은 생업, 먹고 사는 문제이고 항심은 도덕이나 윤리, 예의 등이다. 지금으로 따지면 민주주의도 항심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무항산 무항심을 현대적 의미로 해석하면 국민의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지
Network Society and Future Scenarios for a collaborative economy
Part I Beyond the End of History : Three Competing Value Models 특허의 드라마틱한 증가는 기술 혁신의 증가와 병행되지 못했다. 생산성이 특허 수상의 숫자로 정의되지 않는다고 한다면, 특허가 혁신과 생산성의 증대에 기여했다는 경험적 증거는 없다(Boldrin and Levine, 2013, p. 3). 참고 문헌 Boldrin, Michel, and David K. Levine(2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