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과 언론 : 권력의 변동'을 읽고나서
원문 : Facebook and the press: The transfer of power 저널리즘에 있어 진실의 존재론적 위기는 영향력의 결여라는 사실이 미국 대선을 거치면서 더 명확해졌다. 영향력은 에너지와 같아서 변동되는(transfer) 것이지 파괴되는 것은 아니다. 많은 대도시 신문의 확고한 객관주의는 초당파적인 열독률의 최대화를 유지하기 위한 열망 속에서 성장했다. (페이스북의 최근 알고리즘 조정도 같은 맥락이라는
'원숭이섬의 비밀'과 AI 스피커 전용 뉴스의 미래
어드벤처 게임의 스토리텔링 ‘원숭이섬의 비밀’은 어드벤처 게임의 역작으로 꼽힌다. 1990년 출시된 버전이 10년이 지난 뒤 리메이크될 만큼 흥행도 성공적이었다. 해적이 되고자 하는 가이브러쉬가 3가지의 관문을 뚫고 유형 해적 리척에게서 여자 친구를 구해낸다는 줄거리는 뻔해 보이긴 했다. 하지만 스토리가 전개되는 과정 곳곳에 삽입된 유희적인 요소와 코믹한 대화적 장치는 사용자의 몰입을
딥러닝과 문제 그리고 한계에 대한 글과 논문들
The 10 Top Recommendations for the AI Field in 2017 NEW THEORY CRACKS OPEN THE BLACK BOX OF DEEP NEURAL NETWORKS A Visual Guide to Evolution Strategies How Do You Turn a Dog into a Car? Change a Single Pixel 빅데이타에 대한 무차별적 신뢰는 그만두어야 한다 Data Tagging in Medical
‘인터렉티브 보이스 콘텐츠', 언론사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원하든 원하지 않든 ‘인터렉티브 보이스‘ 콘텐츠는 뉴스 산업의 부담스런 숙제로 성큼 다가왔다. 가깝게는 AI 스피커를 염두에 둔 전략을 요구받고 있고 멀게는 자율주행화 한 자동차를 대상으로 한 콘텐츠 개발을 구상해야 하는 상황이다. 디지털 퍼스트, 모바일 퍼스트에 이어, 보이스 퍼스트가 또 한번 머릿속을 지끈거리게 할 가능성이 크다. 인터렉티브 보이스는 라디오의 확장된 형태거나
캐서린 헤일즈 '나의 어머니는 컴퓨터였다'에서 드러난 인간과 지능 기계의 상호작용
2장 말하기 글쓰기 코드 복잡성의 처소 말하기에서 글쓰기, 글쓰기에서 코드로 나아가면서 각 후발 체제는 자신의 역학 속에 이전의 가치를 기입해 넣으며 앞서 나온 시스템을 재해석한다.(67) 정보화 시대가 상당한 발전한 지금, 말하기와 글쓰기가 이진 숫자로 코드화될 때 의미 작용의 프로세스가 어떻게 바뀌는가를 이해하려면 말하기와 글쓰기라는 레거시 시스템과 코드가 어느 지점에서
역동적 편집과 스토리텔링의 혁신
Machine Learning Will Give Publishing Visual, Interactive Content on a Big Scale ‘역동적 편집’ 뉴스룸에 있어, 이와 같은 흐름은 에디토리얼 콘텐츠의 완전히 새로운 카테고리를 상징한다. 나는 이를 기계학습을 통해 대규모로 시각적 및 대화형 기사를 만드는 “역동적 편집”이라고 부르려고 한다. 이러한 유형의 지능형 컨텐츠 자동화는 언론인의
네트워크화 한 시장과 홈팟의 기술 문제
디지털 경제 구조에서, 네트워크는 시장 지배의 핵심 요소다. 시장은 네트워크화한 개인들처럼, 얽히고설켜 네트워크화한 시장(Networked Market)으로 재구성된다. 이는 전통적인 시장이 상품 간(카테고리)의 단절과 분리, 위계적 계열화를 어느 정도 전제로 하고 있다는 특성과 배치된다. 네트워크화한 시장은 마누엘 카스텔이 언급한 네트워크 기업의 정의에서 속성을 추출해낼 수 있다. 카스텔의 네트워크
사용자 데이터의 통제권과 미디어
이 글(Confessions of a platforms exec: Marketers beware of handing over data to agencies)을 읽고 조금더 자세히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인터뷰 대상자는 4대 플랫폼 기업의 한 임원이라고 합니다. 이 점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디지털 마케팅에서 가장 중요한 자산은 사용자 ID라고 강조합니다. 언론사로 따지면 데이터의 생산자라고 할 수 있는 독자의
'신경망 지능은 훈련 데이터세트의 상관관계에 대한 통계적 추론일 뿐'
아래는 파스퀴넬리의 최근 논문 ‘Machines that Morph Logic: Neural Networks and the Distorted Automation of Intelligence as Statistical Inference’ 결론부를 구글 번역기의 도움으로 번역하고 매만진 글입니다. 뉴럴 네트워크의 해부학 미디어 고고학의 관점에서, 신경 네트워크 발명은 4 가지 테크놀로지 형태의 구성, 즉 스케일링 (아날로그 입력의 이산화 또는 디지털화), 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