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Po, 정치 블로거와 제휴 'political blog network' 오픈 등
뉴미디어 뉴스/소셜미디어와 시민저널리즘 2010/05/16 14:45 몽양부활 이번주 시민저널리즘 관련한 해외 언론의 소식들 몇 가지를 추려봤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 워싱턴포스트, 정치 블로거와 제휴해 'political blog network' 오픈 워싱턴포스트가 13일 지역 정부의 정치 소식에 초점을 맞춘 'political blog network'를 오픈. 독자들이 추천한 10명의 로컬 정치
'신문의 종말' 짧으면 5년 길면 20년일 수도
얼마전에는 iPad가 민주주의에 해악을 끼칠 것이라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발언이 소개되기도 했는데요. 이들 디바이스가 단순히 시장의 판도에만 변화를 몰고오는 것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 패러다임 쉬프트를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을 짐작케 하는 대목입니다
아이패드로 바뀐 내 일상 그리고 Cross Screen 전략
만약 아이패드를 산다면? 제가(@dangun76) 아이패드 32GB 3G(무제한 요금제)+WIFI 탑재 모델을 구매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날짜는 오는 7월 1일입니다.(그때쯤이면 들어오지 않을까하는 바람을 담았습니다.) 오전 7시 아이폰의 알람 소리를 듣고 기상을 할 것입니다. 그리고 아이폰의 날씨앱을 확인한 뒤 오늘 우산을 들고나갈지 옷은 어떻게 입을지를 결정합니다. 아이폰으로 음악을 들으며 30분 정도
댓글 필터링 의무 적용 아이디어는 사후적 조치
1. 악플의 정의에 대해 언급한 문장은 제가 임의로, 예시로 이 필터링 시스템의 기술적 하한선을 제시해본 것입니다. 당연히 기술적 하한선은 업계와 정부 등의 이해당사자들이 합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그리고 '악플'의 정의에 대한 내용인데요. 저는 악플을 업계가 혹은 정부가 자의적으로 정의하는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봅니다. 예를 들면 좋은 뉴스의 정의는 개개인마다 다
본인확인제 대신 '댓글 필터 의무적용제' 어떨까?
제한적 본인확인제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와 대안입니다. 많은 분들과 토론하지 못했고 또한 가능 여부에 대해서도 확신을 가지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느냐는 개인적 의견을 정리한 것일 뿐입니다. 제가 생각한 안은 제한적 본인확인제 대신 댓글 및 게시물 필터링 시스템 의무 적용제입니다. 제한적 본인확인제는 "정보통신망의 이용을 촉진하고 정보통신서비스를
[인터뷰] 시민참여 저널리즘의 역사와 발전가능성
오마이뉴스, 다음 아고라, 트위터, 블로그, 태터앤미디어 블로그 신문 등이 시민참여 저널리즘을 확산시키고 있는 현실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시민참여 저널리즘이 무한한 발전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술이 발전할 수록 시민들의 참여 방법이 더욱 다양해 질 것이라 전망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Q. 시민참여 저널리즘이 생겨나게 된 계기(상황)와, 그 역사를 간단하게 말씀해주신다면? 시민저널리즘(Citizen Journalism)
그들은 왜 싸이월드를 떠나고 있을까
네트워크화한 개인주의(Networked Individualism)로 수렴하는 과정
소셜미디어가 민주주의 후퇴 막는다
뉴미디어 뉴스/저널리즘과 민주주의 2009/06/26 10:33 몽양부활 ‘포스트 민주주의’란 말이 운위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명박 정부 들어 이런 단어가 공공연 하게 퍼져나가고 있다는 느낌입니다. 포스트 민주주의란 영국의 사회학자 콜린 크라우치(Colin Crouch)가 2004년 내놓은 저서의 제목이기도 합니다. Post-Democracy. 그는 이 책에서 포스트 민주주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논증형 주관 저널리즘은 블로그의 미래
저는 블로거들이 블로그에 쓰고 있는 일반적 기술 방식을 논증형 주관 저널리즘이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근거 없는 오피니언만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과 사실, 인용 등 구체적인 팩트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자신만의 결론을 드러내는 방식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