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정위 칼 빼든 유튜브 뮤직, AI 추천·콘텐츠로 승부수 던질까
음원 스트리밍 시장 1위 유튜브 뮤직이 규제당국의 제동에 발목을 잡혔습니다. 2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공정위에 동의의결 절차를 신청했습니다. 유튜브가 프리미엄 상품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인 유튜브 뮤직을 사실상 강제 결합해 판매해왔다는 지적에 자발적 시정을 요청한 것입니다. 현재 미국에서는 두 서비스를 분리 구독할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유튜브 프리미엄과 뮤직이 묶인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어 그간 ‘끼워팔기’ 논란이 이어져 왔습니다.

이런 결합 판매 구조 덕분에 유튜브 뮤직은 국내 음원 시장에서 빠르게 몸집을 불렸는데요. 앱 분석 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유튜브 뮤직의 국내 월간활성이용자(MAU)는 약 950만 명에 달합니다. 하지만 프리미엄과 뮤직이 분리되면 유튜브 뮤직의 점유율은 지금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미국에선 유튜브 뮤직의 시장 점유율이 8% 수준에 불과합니다
유튜브 뮤직 이용자 다수가 이탈할 경우 ‘모객 전쟁’이 시작될 전망입니다. 현재 멜론, 벅스, 스포티파이 등 주요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은 대부분 월 7900원의 동일한 요금제를 운영 중이며, 지니와 바이브가 각각 8400원, 8000원으로 그 뒤를 잇는데요. 업체 간 요금 구조가 거의 유사한 만큼, 가격 인하 또는 AI 기반 추천 시스템,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 등으로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유튜브 ‘끼워팔기’ 철퇴 수순… 고객 대이동에 음원사 반색(국민일보)
[2] SKT,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 … SK브로드밴드 인수 자금 마련
SK텔레콤이 25일 보유 중이던 카카오 지분 전량을 매각하며 사실상 양사 간 전략적 제휴의 ‘절반 해소’에 나섰습니다. 매각 규모는 총4133억 원으로, SK브로드밴드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한 자금 조달이 목적입니다. 2019년 상호 지분 교환으로 시작된 전략적 협력이 6년 만에 구조적 전환점을 맞았습니다.
이번 지분 정리는 SKT의 AI 중심 사업 전략과 직결됩니다. SKT는 태광산업과 미래에셋이 보유 중인SK브로드밴드 지분 24.8%를 인수해 99.14%의 지분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약 1조1459억 원의 자금이 필요하며, 이번 카카오 지분 매각은 그 일환으로 진행됐습니다. SKT는 SK브로드밴드를 완전자회사로 편입한 이후 AI 데이터센터(AIDC), 해저케이블 등 인프라 투자를 본격화할 방침입니다. 이미 울산 미포 산업단지 부지를 확보해100MW급 AI 데이터센터 건립도 추진 중입니다.
SK텔레콤과 카카오는 2019년 지분 인수 이후 SKT의 구독 플랫폼 'T우주'에 카카오 콘텐츠가 입점했고, 클라우드와 ESG 펀드 분야에서도 공동 사업을 진행했으나 실제 사업에서는 티맵-카카오모빌리티, 11번가-카카오커머스, 에이닷-카나나 등 주요 분야에서 경쟁이 더 두드러졌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측은 "협력관계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SKT는 클라우드 사업 등 기존 협력이 지속될 것이라 밝혔고, 카카오 역시 SKT 및 SK스퀘어 지분을 당장 매각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3] 'BIG 3' 중 유일하게 매출 감소… BHC 역성장 이유는
국내 '치킨 BIG 3' 교촌, BBQ, BHC 중 유일하게 BHC만 지난해 매출이 감소했습니다. BHC를 운영하는 다이닝브랜즈그룹의 지난해 매출은 여전히 업계 1위를 지키고 있지만 '자영업자 겨울'로 인해 성장세가 꺾인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지난해 BHC를 운영하는 다이닝브랜즈그룹의 매출은 5127억원으로, 2023년 5356억원 대비 4.3% 감소했습니다. 같은 기간 BBQ와 교촌의 매출은 각 6.2%, 7.2% 증가하며 BHC와의 매출 격차를 바짝 좁혔습니다.
BHC만 매출이 감소한 이유에 대해선 여러 이야기가 나옵니다. BHC 측은 "할인 프로모션 비용이 매출에서 차감되는데, 해당 비용이 1년 만에 3배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점주들의 어려움이 그대로 BHC 실적에 반영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BHC 매출의 대다수는 점주 대상 원자재 판매에서 나오는데, 공격적인 프로모션에도 원자재 판매량이 그만큼 늘지 않았다면 브랜드에 문제가 생긴 것 아니냔 것입니다.

[4] 고물가에 냉동식품 열풍!

물가가 좀처럼 안정되지 않자 냉동과일 등 냉동식품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냉동과일 수입량은 7만9436톤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요. 5년 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증가한 셈입니다. 냉동과일은 생과일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한편 국민 한국경제인협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1000명의 응답자 중 71.5%가 "가계 경제 상황이 1년 전보다 악화됐다"고 답했습니다. 악화된 이유로는 71.9%가 "물가가 상승해서"라고 답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