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은 환율시장, 채권시장, 원자재시장 등등에 영향을 받는 동시에 정치와 과학의 영향도 심대하게 받습니다. 많은 이들이 주식시장을 설명할 수 없는 복잡계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주식 시장은 함부로 예측할 수 없다고 말이죠. 한편 주식 시장은 최고의 수익률을 올리는 것이 진리인 단순계이기도 합니다. 저를 비롯한 개미들은 주식 시장을 예측하고 싶어합니다. 이 두 가지 인식 모두 투자에 도움이 된다 생각합니다. 나름 시장을 예상해보고 내 판단이 복잡계인 주식 시장과 어울린다면 현재의 흐름을 이어가고, 그렇지 않다면 빠르게 흐름을 바꾸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도 나름 기준이 있는데, 여러분께 이 글을 통해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연준'과 '실업률'을 유심히 보고 있습니다.
연준은 연방준비제도를 말하며, 미국의 통화정책을 수립하고 금융시장을 감시하는 동시에 금융체계의 안정성을 추구하는 기관입니다(엄밀히는 사기업인데 성격상 기관이라 하겠습니다). 연준은 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양대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연준은 이를 위해 금리와 통화량을 조정합니다. 연준의 판단에 따라 달러 가치가 변화하고, 이는 기업 주가에 지대한 영향을 줍니다. 지난 몇개월간 가장 큰 이슈는 연준이 통화량을 줄이는 테이퍼링(tapering)을 할 것이고 금리인상도 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연준 의장이나 연준 위원이 금리를 어떻게 하겠다 혹은 예상이 어떻게 된다라는 발언만으로 주식시장이 요동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치솟을 것 같은 물가는 다시 안정을 찾았습니다. 금리도 그리 치솟지는 않았습니다.
연준, 실업률과 물가 두마리 토끼 잡으려해
오히려 문제는 실업률입니다. 지속적으로 경기부양을 통해 기업이 충분히 좋아지고 이것이 고용안정(즉 실업률 저하)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한 후 다음 대책을 선보이겠다는 것이 연준이 지속적으로 밝혀온 방향성입니다. 연준은 실업률을 안정화하는 것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고용이 85만명이나 증가했지만 그럼에도 팬데믹 이전과 비교하면 680만개의 일자리가 줄어든 상태입니다("美 6월 고용 85만 명 증가…실업률은 5.9%로 상승" 연합인포맥스). 연준은 실업률이 충분히 내려올 때까지 지속적으로 경기를 부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