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CMS는 언론사 업무 문화의 기술 결정체입니다. 그 언론사의 일하는 방식이나 과정 등이 이 기술 안에 반영돼 녹아있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CMS의 변경 혹은 교체가 미치는 영향은 단순히 기술 하나를 더하거나 빼는 수준에 그치지 않습니다. 그들의 철학, 지향, 조직 문화 등 영향을 받지 않는 영역이 없을 정도입니다. 그래서 신중해야 하고 또 신중해야 합니다. 조선일보의 아크 도입은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습니다. 조선일보의 이후 전략을 가늠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앞서 언급한 대로 CMS는 개발을 주도한 언론사의 문화 응축체입니다. 아크(Arc)는 워싱턴포스트가 일해온 방식이 고스란히 배어 있는 기술의 결과물일 수밖에 없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해 애써온 흔적들이 아크 안에 스며들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비록 언론사를 위한 보편적 콘텐츠 플랫폼으로 서서히 변모해가고 있긴 하지만 워싱턴포스트의 일하는 방식이 완전히 탈색되지는 않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 기술적 구성물을 도입한다는 건 결국 워싱턴포스트의 일하는 문화를 수용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다들 기억하시겠지만, 워싱턴포스트가 그들의 CMS를 판매하겠다고 밝힌 것은 2014년 말의 일입니다. 제프 베이조스가 인수한 지 약 1년여가(16개월) 지난 뒤였습니다. “우리는 더이상 신문기업이 아니라 기술 기업이다”라고 선언하면서 말이죠. 여기에 아마존의 자산이 결합돼 하나의 상품으로 등장할 수 있게 된 것이죠.

처음엔 미국의 대학신문으로 대상으로 라이선싱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콜롬비아대, 예일대 등등을 중심으로 말이죠. 그 이후 기술적 완성도를 높이면서 미국 내 주류 언론으로 시장을 확대해갔습니다. 지금은 복스의 코러스, 워드프세스와 함께 언론사들이 선호하는 CMS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