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이 끝날 무렵인 1969년. 43세의 젊은 CEO 설즈버거(Arthur Ochs Sulzberger)는 뉴욕타임스를 미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더 큰 성장과 지속적인 확장을 위한 선택이었습니다. 더 많은 돈이 필요했고, 더 많은 인재를 채용해야 했기에, 자금 조달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상장은 괜찮은 선택이었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 고민이 있었습니다. 상장 뒤에도 설즈버거 가문의 소유권이 흔들려서는 안된다는 사실입니다.
설즈버거 가문은 1896년부터 뉴욕타임스를 소유해 왔습니다. 자칫 상장이 이 전통과 지배권을 무너뜨릴 수도 있었기에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었죠.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상장 또한 물거품이 될 수도 있었습니다. 설즈버거는 의결권에 약한 Class A를 상장하고, 가문은 Class B를 보유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1960년대는 미국 신문사들 사이에서 상장의 붐이 일던 시기였습니다. 1963년 다우존스를 시작으로 1964년 타임스 미러, 1967년 개닛, 1969년 뉴욕타임스와 나이트리더 그룹이 모두 상장에 성공했습니다(Meyer, P., & Wearden, S. T. , 1984).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다수의 미국 언론들은 대략 이 시기에 자사 주식의 공개 거래를 성사시켰습니다. 그리고 1970년대 신문의 황금기를 맞을 수 있게 됐습니다.
이들 신문사들이 상장을 선택한 이유는 여러 가지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유력한 관점은 상속세 등을 둘러싼 세금 문제였죠(Meyer, P., & Wearden, S. T. , 1984, p.565). 다들 가족이나 개인이 소유하고 있었기에 다수 지분을 지닌 가문의 어른이 사망하면 상속권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상장을 하게 되면, 가치 평가가 객관적으로 이뤄지고, 상속의 배분도 비교적 공정하게 처리될 수 있기에 상장을 선호했습니다. 그리고 빠르게 성장하는 세계경제와 신문 산업 생태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확장 경쟁도 상장 대열에 합류하게 하는 동력이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