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픽 급감' AI 검색 시대, 뉴스미디어의 생존 전략
AI 검색 시대가 가까이 왔습니다. 퍼플렉시티가 신호탄을 쏘아올렸고, 구글이 AI Overview로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네이버대로 AI 검색 'CUE:'을 모바일 버전에 적용하기 위해 한창 분주합니다.
AI 검색 시대가 가까이 왔습니다. 퍼플렉시티가 신호탄을 쏘아올렸고, 구글이 AI Overview로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네이버대로 AI 검색 'CUE:'을 모바일 버전에 적용하기 위해 한창 분주합니다.
강의 후 각 10분씩 질의응답이 진행됩니다.이 라이브 강의는 녹화가 진행됩니다. 구매자분들은 녹화된 강의영상도 보실 수 있습니다.(30일간 제공)이 강의는 줌 강의 시청 상품입니다. 강의자료는 따로 제공되지 않습니다.강의자료는 PDF ebook 형태로 제작돼 별도 판매될 예정입니다. (강의와 함께 PDF 자료집도 구입을 원하는 분은 패키지 상품을 선택하면 더 효과적입니다)(문의
패키지 요약 이 상품은 zoom 라이브 강의시청과 PDF ebook 자료집으로 구성돼 있습니다.PDF ebook 자료집은 라이브강의 자료 및 질의응답을 모아서 제작합니다.이 패키지 상품을 구매한 분께는 라이브 강의 종료 후 해당 내용을 PDF ebook 형태로 제작하여 10월 30일까지 보내드릴 예정입니다. 패키지 유의사항 수강 취소시 전액 환불은 웨비나 강의 시작 하루전까지
[에디터 주] 닉 디아코풀러스 교수의 최근 글, 'The Impact of Generative AI on Journalistic Labor'를 번역했습니다. 더코어 독자분들 가운데 미디어 산업 종사자분들은 많이 궁금해 하실 것 같았습니다. 관련 링크들도 넣어두었으니 참고해주시면 좋겠습니다.최근 사이언스 저널에 발표된 연구는 ChatGPT와 같은 최신 대형 언어 모델(LLM)을 사용하면 수백 개의 직업에서 평균
AI 검색이 주류로 넘어가는 시점입니다. 검색의 기반 기술이 시맨틱 중심의 검색증강생성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더이상 키워드 중심의 SEO 전략이 통하지 않는 시대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AI 기반의 팩트체킹 방법론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여러 도구들도 소개되고 있죠. 하지만 여전히 팩트체킹은 AI가 완벽하게 도전하기엔 어려운 영역입니다. 그렇다고 인간이 모든 팩트체킹을 감당하기엔 허위조작정보들이 너무 많아졌습니다. 과거의 팩트체크만으로 새롭게 등장하는 위험한 정보들을 다 검증하기도 어려워졌습니다. 매일매일 쏟아지는 팩트체크 대상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AI의 도움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인간 팩트체커와
💡현재는 2025년 3월18일 버전입니다. 추후 계속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한번 구매하시면 업데이트 버전도 무료로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생성 AI를 우리 뉴스룸에선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고민이 많으실 겁니다. 생성 AI가 무엇을 잘하고 무엇을 잘 못하는지 판단하기도 쉽지 않을 겁니다. 어떤 도구를 써야 우리 회사에 도움이 될 만한지도 선택하기 쉽지 않을 테고요.
[자료] PR 업무 현장에서의 AI 활용방안 최근 한 대기업의 PR마케팅 부문에서 'AI에 대한 이해 + 현장 활용방안'을 주제로 특강을 했는데요. 2시간 가량 진행했던 PT 자료입니다. (총 99장) 원래의 특강 자료에는 예시 동영상이 제법 포함돼 있기도 해서 분량이 더 많았는데 공유용 PDF 자료를 만들면서 압축한 버전입니다. 일부 예시는 url을 넣는 등 가급적
메러디스 코핏 레비엔 뉴욕타임스 CEO의 콘퍼런스콜 발언을 번역하고 정리했습니다. 2021년 2분기부터 2024년 2분기까지입니다. 이후 IR이 진행되면 업데이트 될 수도 있습니다. 기존 구매자분들은 다시 다운로드를 받으시면 됩니다.
2022년 6월 모 대학 미디어학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강의했던 자료입니다. 디지털 저널리즘 과목이었고요. 강의 전에 수강생들로부터 질문을 받았습니다. 저널리즘, 레거시 미디어와 포털의 관계, 미디어 스타트업, 미디어스피어의 비즈니스 모델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수십 건의 질문이 제가 도착을 했었답니다. 모든 질문에 답할 수가 없어서, 그간의 자료, 신규 자료 및 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재정리를
<필자소개> 임성희 (montang2@gmail.com) 지난 20년 미디어 콘텐츠 엔터테인먼트 현장에서 OTT 서비스, K POP 팬플랫폼, 콘텐츠 마케팅 등을 하면서 빡세게 굴렀다. 참여한 주요 프로젝트들을 보면, SK텔레콤에서 5G 이동통신과 인공지능 기술을 기존 미디어 콘텐츠와 결합해 혁신적 콘텐츠를 만드는 일을 했다. 이전에는 아이리버(現 드림어스 컴퍼니)에서 HiFi 디지털
씨로켓과 미디어고토사 멤버들의 스터디를 위해 번역한 문서입니다. (문의 contact@neocap.co.kr, mediagotosa@mediasphere.kr) 👉 맥킨지의 원문 : 'Building a digital New York Times: CEO Mark Thompson'
개인적으로, 기자들이 저널리즘과 민주주의를 도식적으로 연결시키는데 주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뉴스가 혹은 저널리즘이 민주주의의 보루이며 나아가 민주주의 고양하는데 필수적 요소라고 인식하기 쉬운데, 이를 입증할 만한 조건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기계적으로 등식화하는 건 착각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 제가 저널리즘이 민주주의에 기여하는 방식에 대해 썼던 글을 모아서 편집을 해봤습니다. 그리 길지는 않은
올 2월 미디어고토사 '런치스터디'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알고리즘의 다양성이 실제로 민주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탐색해 보는 논문을 요약하고 관련 내용을 소개한 자료입니다. 어떤 방식과 목표로 설계됐느냐에 따라 알고리즘은 다른 효과를 내기 마련입니다. 알고리즘 방식을 완전히 걷어내야 한다 같은 극단적인 논의와는 별개로 알고리즘을 어떻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설계하느냐도 무척이나 중요한
탈포털이 국내 언론 산업 안에서 어젠다가 되었다가 조금은 시들해지는 형국입니다. 그것이 가져 올 위험, 대처방안의 세부 전략 부재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래서 마련한 행사였고, 그와 관련해 작성한 발표자료입니다. 아래 한 장의 슬라이드를 위해서 다양한 사례들과 프레임워크가 동원이 됐습니다. 왜 이러한 절차가 필요하고 실제로 그 절차로 유익을 얻은 사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탈포털이 국내 언론 산업 안에서 어젠다가 되었다가 조금은 시들해지는 형국입니다. 그것이 가져 올 위험, 대처방안의 세부 전략 부재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래서 마련한 행사였고, 그와 관련해 작성한 발표자료입니다. 아래 한 장의 슬라이드를 위해서 다양한 사례들과 프레임워크가 동원이 됐습니다. 왜 이러한 절차가 필요하고 실제로 그 절차로 유익을 얻은 사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여러 언론사들이 신규 미디어 프로젝트를 기획할 때 전통적인 워터폴 방식을 고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이 실패로 이어지면 신규 프로젝트 실험 자체가 차단되는 경우도 빈번합니다. 신규 미디어 프로젝트 특히 버티컬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진행할 때 접근법을 달리해야만 실패 확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저널리즘 프로젝트에서 왜 프로덕트 씽킹이 중요한지는 이 문서에 포함된 아래 슬라이드를
누구에게 도움이 될까요?유료 구독을 검토 중인 언론사 전략 담당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유료 구독을 결정한다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장기 전략을 필요로 하는지, 성과 지표 체계는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어떤 기반 기술이 필요한지 등 고려할 점들이 많이 있습니다. 짚어야 할 점들을 하나하나 설명을 해두었습니다. 어떤
미디어 지형은 늘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있습니다. 서로 다른 방향의 힘이 충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며 뚜렷한 변화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그 변화의 방향을 정리하고 한국 미디어가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첫 시작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