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유튜브가 TV!"
[1] 유튜브, 이제 TV가 주 무대💡95년 2월 만들어진 유튜브, 이제 20주년을 맞았습니다. TV로 유튜브를 보는 사람이 늘어나는 등 우리 일상에 스며들면서 방송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유튜브 관련, 이모저모를 살펴봤습니다. 유튜브가 모바일 중심 플랫폼이라는 인식이 깨지고 있는 현상과 새로운 방송플랫폼으로 부상하는 현상 등을 짚었습니다. 참고로 최근 통계에 따르면, 유튜브
[1] 유튜브, 이제 TV가 주 무대💡95년 2월 만들어진 유튜브, 이제 20주년을 맞았습니다. TV로 유튜브를 보는 사람이 늘어나는 등 우리 일상에 스며들면서 방송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유튜브 관련, 이모저모를 살펴봤습니다. 유튜브가 모바일 중심 플랫폼이라는 인식이 깨지고 있는 현상과 새로운 방송플랫폼으로 부상하는 현상 등을 짚었습니다. 참고로 최근 통계에 따르면, 유튜브
최근 조사에 따르면, 2023년 마지막 분기에 영국의 온라인 뉴스 출판사들 사이에서 모바일 기반 플랫폼 외 수익이 86% 급감했다고 합니다. • 왜 중요하냐면 : 이러한 감소세는 주로 페이스북이 사용자 피드에서 뉴스 콘텐츠를 후순위로 밀어낸 결정 때문입니다. 언론사들은 페이스북, 유튜브, 틱톡과 같은 제3자 채널에서 발생하는 수익에 그간 크게 의존해왔으며, 전체적으로 이러한 외부 플랫폼 수익은
[1] "스타트업 인수・구글과 협상" 애플, AI 집중하나? 애플이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에 나섰습니다. 며칠 전 AI 스타트업을 인수한 데 이어, 자사 디바이스에 생성 AI를 탑재하려 구글과 협상 중이라고 블룸버그가 보도했습니다. 애플은 AI를 통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까요? • 왜 중요하냐면 : 애플이 생성 AI '제미나이'를 아이폰에 탑재하기 위해 구글과 협상
AI에게 찬성과 반대입장을 부여하고 서로 토론을 시킨 사례가 있습니다. 무척 흥미로운 장면입니다! 아래 유튜브 영상에 내용이 담겨 있는데요. AI에게 '의대 정원 증가' 이슈를 놓고 한쪽 AI는 정부측의 찬성입장을, 다른 AI는 의료계의 반대입장을 대변하는 식으로 학습을 시키고 상호 토론을 하도록 설정이 돼 있습니다. (TTS 기술 통해 목소리도 입혔네요) 유튜브 '테디노트' 채널의
구글의 새로운 도전, 인공지능 검색 엔진지난 5월, 구글이 인공지능 기반 검색 엔진인 'Search Generative Experience(SGE)' 베타 버전을 출시하면서, 많은 출판사들이 오가닉 검색 트래픽에서 큰 변화에 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변화는 미디어 경영진과 검색 엔진 최적화 전문가들에 따르면, 20%에서 60%까지의 트래픽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웹상의 언론사들에게
💡이커머스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온라인 유통업체는 이제 하나의 미디어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웹사이트에 직접 광고를 게시하는 리테일 미디어의 영향력은 나날이 커지고 있는데요. WARC가 분석한 리테일 미디어의 가치에 대한 자료와 맥켄지 컴퍼니의 리테일 미디어 리포트를 함께 전합니다.1. 리테일 미디어의 성장이커머스 시장의 성장, 소비자의 구매 유형 변화로 리테일 미디어*는
OpenAI의 CTO, 미라 무라티(Mira Murati)가 영상을 만들어주는 생성 AI 'SORA(소라)'에 대해 WSJ와 13일 인터뷰를 했습니다. 무라티는 Open AI가 샘 알트만 CEO를 해임했을 때 이틀간 임시 CEO를 맡기도 했었죠. 지금은 소라를 포함해 기술 프로젝트를 총괄 관리하는 CTO 업무를 계속 담당중입니다. 'SORA'는 'Text - To - Video' 서비스인데
[1] 생성 AI, 미국 기업들의 활용 현황은?오픈AI의 GPT-4 출시 이후 1년이 지났습니다. 그간 미국 테크 업계는 주목할 만한 성장을 경험했는데요. 이코노미스트에서 '생성AI가 테크 산업에 미친 영향'과 '생성AI를 직종별로 사용하는 방법' 등을 분석했습니다. 인포그래픽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왼쪽) 미국 내에서 산업별 AI 활용 정도입니다. 정보, 전문서비스, 교육에서 가장 많이 활용될뿐만 아니라
[브리핑 - 1] 구글에게 필요한 변화는?구글이 최근 제미나이(Gemini)의 이미지 오류로 위기에 빠져 있는 가운데 CEO 교체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미지 오류? 미국 '건국의 아버지'나 2차대전 당시 독일군의 이미지를 흑인 등 유색인종으로 그려낸 사례 등이 많이 보도됐었는데요. 서비스 중단 후 구글의 CEO 순다 피차이는 전 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애드테크 업체는 “인류가 고안한 가장 큰 정보 수집 기업”으로 불리곤 합니다. 이들 업체의 광고데이터를 미국 정보기관이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운 마이크 예글리란 인물의 스토리를 다룬 WIRED의 아티클을 소개합니다. 광고 추적 데이터는 이제 어디에든 활용되고, 누구든 활용할 수 있게 된 걸까요?데이팅앱 Grindr 사례Grindr(그라인더)라는 데이팅 앱이 있습니다. 주로
💡아래 글은 미디어스피어의 '문체변경 AI -오웰'의 스마트 브리핑체와 이야기체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해주세요.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이 독자들에게 베이 지역 내 추천 식당과 특정 요리를 안내하기 위해 AI 기반 챗봇 'Chowbot'을 선보였습니다. • 왜 중요하냐면 : 이번 프로젝트는 신문사가 독자와 직접 소통하는 첫 AI 활용 사례로, Chowbot은 신문의 업데이트되는 가이드와 리뷰를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바이스 미디어가 직원의 대다수를 해고하고 웹사이트를 폐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주목받던 ‘뉴미디어 스타트업’가 쇠락한 핵심에는 높은 브랜드 광고 의존도와 광고 트렌드 변화가 있었습니다. 세 줄 요약 1. 바이스 미디어가 웹사이트 폐쇄와 대규모 정리 해고를 선언했습니다. 2. 광고 수입에 의존해 운영해온 뉴스 미디어·스타트업의 구조적 문제가 패인으로 분석됩니다. 3. 빅테크의 온라인 광고시장
[1] 애플, 스마트 링・글래스 개발할까?애플이 '스마트 링', '스마트 글래스' 혹은 '카메라가 달린 에어팟' 출시를 논의 중이라고 합니다. 삼성이 '갤럭시 링'을 출시하며 애플도 새로운 AI 디바이스를 내놓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 왜 중요하냐면 : 애플은 과거부터 스마트 링과 글래스에 대한 여러 특허를 출원해왔으며, 이는 회사가 웨어러블 기기 분야에서 새로운 제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