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는 정말 저물고 있을까
뉴스레터에 대한 회의론이 갑작스럽게 불어나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가 만들어낸 여러 풍경 중 하나라고 하기엔 조금은 파장이 커보이기까지 합니다. 엄밀하게 따지면 뉴스레터 자체에 대한 회의론이라기보다 뉴스레터 기반 비즈니스에 대한 회의론에 가깝긴 합니다. 다만 이런 논의가 공론화하고 있다는 게 조금은 우려스럽습니다. 뉴스레터 '일몰론'의 내용과 요지뉴스레터 일몰론의 시발점은 그 유명한 레코드의 전문 기자
뉴스레터에 대한 회의론이 갑작스럽게 불어나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가 만들어낸 여러 풍경 중 하나라고 하기엔 조금은 파장이 커보이기까지 합니다. 엄밀하게 따지면 뉴스레터 자체에 대한 회의론이라기보다 뉴스레터 기반 비즈니스에 대한 회의론에 가깝긴 합니다. 다만 이런 논의가 공론화하고 있다는 게 조금은 우려스럽습니다. 뉴스레터 '일몰론'의 내용과 요지뉴스레터 일몰론의 시발점은 그 유명한 레코드의 전문 기자
미디어/저널리즘의 핵심 주체가 조직에서 개인으로 서서히 넘어가고 있음을 읽어낼 수 있습니다
팟캐스트만으로 유료 구독 모델을 도입하려는 그룹과 다른 유형의 유료 구독 콘텐츠에 팟캐스트를 추가하려는 그룹으로 나눠볼 수 있을 겁니다
집단으로서 다중의 천재성을 신뢰하지 않는다면 그것이 정부든 미디어든 온존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우리는 웹2.0의 철학에서 배우고 있다. 구글을, 네이버를 탓하기 전에 스스로 시민의 참여를 얼마나 진작시켜왔던가를 진지하게 되돌아봐야 한다.
저는 블로거들이 블로그에 쓰고 있는 일반적 기술 방식을 논증형 주관 저널리즘이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근거 없는 오피니언만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과 사실, 인용 등 구체적인 팩트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자신만의 결론을 드러내는 방식이죠
기자윤리만큼은 되지 않더라도 이에 준하는 정도의 블로거 윤리강령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분들의 생각은 어떠하신지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뉴미디어 뉴스/저널리즘과 민주주의 2008/08/16 13:01 몽양부활 아카이브 차원에서 과거 글을 입력했습니다.지금 국면에 시사하는 바도 적지 않아 보이기도 했고요. '미디어+Future' 8월호 인터뷰를 위해 작성했던 글입니다. 코멘트 인용을 위해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참조 삼아 올려놓습니다. 1. 쇠고기 국면은 각종 미디어 이슈가 뒤엉킨 사안이기도 했는데,
개별 블로거가 블로그 운영만의 수익으로 먹고살 수 있는 날이 온다면 가장 먼저 빛을 낼 수 있는 집단이 기자들이 아닌가 합니다.